*벤처 전후방 인력양성 중요
현 정부 초기 벤처정책은 IMF 직후 폭증하는 청장년 실업난을 해소키 위한 창업정책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정책은 IMF 경제위기 당시 실업자군을 흡수하는 효과를 발휘했다.
중기청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1만2000여개의 벤처기업이 수용하고 있는 고용인원의 경우 총 36만여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기청에서 벤처인증을 받지 못한 기업까지 포함한다면 그 수는 2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같은 고용창출은 분명 IMF 이후 사회문제화될 수 있었던 대규모 실업대란의 상당부분을 완화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특히 이들 고용인력의 40% 이상을 소화하고 있는 전문인력의 흡수와 사회에 진출하는 사회초년병의 흡수효과는 수치 이상의 효과를 거뒀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벤처침체기를 맞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돌아볼 때 이같은 실업대책으로서의 벤처정책은 한계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단순한 붐에 힘입어 일어났던 벤처업계의 인력수요가 거품이 빠지면서 급격히 줄고 있기 때문이다. 거품에 기댄 벤처인력은 실업자군을 잠시 붙잡아두는 역할을 하는 데 그치고 만 것이다. 이같은 잠재적 실업의 유예현상은 최근의 실업대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이제는 단순한 일자리 확보가 아니라 벤처에 맞는 인력을 양성, 벤처산업의 한 축을 형성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향후 벤처산업 육성방향을 성장 위주 정책으로 바꾸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10여개의 일자리 수백개보다는 수천명의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몇개의 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미국의 유망 솔루션업체 시벨사의 경우 창업 초기 3년 동안 전략적 제휴를 맺은 중소 벤처기업이 700개에 육박했다. 만약 이들 기업이 50명씩만 고용해도 3만5000명의 실업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타급 기업 하나가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물론 스타급 벤처기업을 육성해 작은 개미군단에 부가적인 상승효과를 일으키는 효과도 있다.
이는 또 벤처생태계와 관련된 전문가들이 먹고 살 길을 열어주기도 한다. 즉 성장 위주 정책드라이브를 통해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법률서비스, 인큐베이팅, 벤처캐피털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