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의 전기·전자, 정보통신제품 수출에 필요한 해외 현지 인증정보의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전자, 정보통신제품의 수출을 준비하는 기업 대부분이 수출에 필요한 해외 안전인증정보를 체계적으로 지원받지 못해 자신들의 상황에 적합한 해외 인증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정보부족현상은 국내 수출기업들의 특정 인증에 대한 무분별한 선호로 이어져 비용과 시간 면에서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대미 수출에 필요한 안전인증은 미국 노동부가 지정한 19개 국가공인시험소(NRTL) 가운데 한 곳의 인증마크만 획득하면 미국 전역(모든 주) 수출에 필요한 법적 요건이 만족된다. 그러나 국내 수출 중소기업이 대미 수출을 위해 취득하고 있는 안전인증은 90% 이상이 UL에 집중돼 있다. 이는 일본의 약 60%, 대만·중국의 약 70%(추정)보다 턱없이 높은 수치다.
UL인증 획득이 다른 NRTL인증(CSA·ETL·TUV·USTC·MET 등)에 비해 비용부담은 크고 인증취득 심사기간이 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수출기업들의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까지 지목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런 현상은 국내 인증대행기관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UL인증 중심으로 형성돼 있고 중소업체의 대부분이 대행기관에 인증업무를 위탁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나 단체 차원에서 해외 인증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홍보가 뒤따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