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에 전대미문의 거대한 물결이 몰려오고 있다. 노도와 같은 이 물결은 방송·통신의 융합이다. 이는 지금까지와 사뭇 다르게 모든 IT환경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독자 영역을 구축해왔던 세계 각국이 디지털기술의 진전에 따라 융합 국면에 직면했다. 그 누구도 방송·통신의 융합에 이의를 달지 않고 있다. 가장 보수적 자세를 견지해왔던 관료들조차 방송·통신의 융합이란 대세를 인정한다. 최근 이뤄진 문화관광부, 정보통신부, 방송위원회 3부 수장의 만남에서도 21세기 방송·통신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해 의견일치를 이뤄냈다. 방송·통신 융합의 흐름과 미래, 산업적 파급효과, 핵심이슈에 대해 긴급 점검한다. 편집자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가입자 기반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돼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통신이 광대역화를 이루었고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방송네트워크는 양방향화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통합된 네트워크는 콘텐츠 유통과 이용환경을 COPE(Created Once,Publish Everywhere) 형태로 바꿔준다는 점에서 패러다임 변화로 볼 수 있다.
이같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다. 때문에 국내 IT산업에는 산업전반의 패러다임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궁극적인 IT환경을 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IT코리아는 또 하나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게 됐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이미 일어나고 있다. 초고속인터넷과 CDMA를 바탕으로 IT강국의 위상을 드높였던 우리에게 도전할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주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4가지 이슈를 갖고 있다. 기술의 융합, 서비스의 융합, 사업자의 융합, 정책·규제기구의 융합 등이다.
기술 측면에서의 방송과 통신 융합은 인터넷 발달과 함께 최근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단계에 직면했다. 케이블TV는 물론 위성, 지상파 등 방송의 경우 디지털화를 바탕으로 도저히 불가능할 것 같은 양방향성을 갖추기 시작했고 통신은 유선은 물론 무선까지 광대역화를 실현했다. 유선통신의 경우 가입자당 최대 52Mbps급의 VDSL투자가, 무선은 2Mbps급의 IMT2000 및 초고속 무선인터넷시대가 각각 열리고 있다.
통신이든 방송이든 음성·데이터·동영상 등 멀티미디어의 3대 요소를 무리없이 구현하는 기술진전을 이뤄낸 것이다.
이같은 기술진전은 서비스 및 사업자 융합으로 이어지고있다.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전환을 계기로 광대역 기반하에서 양방향성을 확보, 통신의 영역이었던 데이터와 음성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특히 케이블TV는 양방향 기반하에서 ㎓급 전송능력을 갖추면서 통신이상의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다.
통신사업자도 마찬가지다. VDSL네트워크를 갖춘 유선기반 통신사업자들은 음성·데이터통신서비스에 이어 동영상서비스가 가능하면서 준비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광대역가입자네트워크를 보유한 통신사업자들은 주문형 영화 개념에 그쳤던 VOD서비스를 주문형 동영상(video)서비스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위성DAB, 스카이라이프에서 볼 수 있듯이 제한적이지만 사업자 융합도 엿보이고 있다.
이러한 방송과 통신의 환경 변화는 또 필연적으로 정책 및 규제기관의 융합으로 이어지고 있다. 문화관광부·정보통신부·방송위원회는 이달부터 고위급 실무위원회를 구성,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정책기능 조정 및 규제기구 단일화 문제를 심도있게 다룰 예정이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단순 두부문의 융합 외에 IT산업에 상상하기 힘든 시너지효과를 갖는다. 방송·통신매체 전반의 디지털화를 가져오고 이는 디지털 가전 및 콘텐츠산업 전반에 대규모 수요창출과 함께 연관산업에 대한 투자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통신·방송으로 나뉘었던 사업자구도는 플랫폼 중심의 사업자 구도와 콘텐츠 신디케이트업으로 나뉘며 각 부문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시장쟁탈전을 벌어질 조짐이다. 기기는 기기대로 융합하고 콘텐츠는 콘텐츠대로 디지털융합시대에 대비해야 한다.
IT산업 모든 구성원으로 하여금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지 않을 수 없게끔 하는 것이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