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보의 비지니스 모델 세미나 요약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이사장 방상훈)가 주관하는 ‘공공정보의 비즈니스 모델’ 세미나가 18일 오후 서울 다동 한국관광공사 지하 상영관에 전자신문사 후원으로 열린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98년부터 정보통신부가 데이터베이스 산업과 정보제공 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해 진행중인 ‘공공정보의 민간 이용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발표내용의 요점만을 간추렸다.

 ◇‘공공정보의 민간 이용활성화 사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윤형석 DR&C 사장)=공공정보에 대한 활용의식이 고취됐고 지난해 전체 데이터베이스 수 14.1% 증가, 업체 수 11.3% 증가라는 효과를 거뒀다. 하지만 공공기관과 민간사업자의 활발한 참여와 정보의 경제가치에 대한 인식변환이 시급하다. 관련법을 구체화하고 정보수집 체계도 개선해야 한다.

 ◇해외 공공정보 제도·현황(김선정 도원닷컴 사장)=미국·영국·일본에는 공공정보 상용화 제도와 관련 기업이 발달돼 있다. 공공정보 상용화서비스를 위해 상업성 있는 공공정보를 발굴·평가하는 한편, 공공정보 중개기관을 설립하고 관련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재무·경제 분야의 공공정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방안(최영훈 광운대 교수)=민간의 공공정보 활용은 기업의 투자전략과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된다. 시민의 공공정보 접근권 보장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재정·입법·통계·지리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통계분야의 공공정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방안(이은정 통계청 사무관)=호주, 캐나다, 싱가포르에서는 통계정보의 유료화가 활발하다. 유료화는 이용자 중심의 통계생산을 유도한다. 공공기관인 특허청이 유료사업을 펼치면 정보격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산업·비즈니스 분야의 공공정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김익철 아이디어브레인 컨설턴트)=이미 전국교통 데이터베이스, 국가종합전자조달 등 사업화가 가능한 공공정보들이 많이 있다. 시민이 관리하는 공공정보 종합목록을 작성하고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 새로운 공공정보의 개발노력도 필요하다.

 <정진영기자 jych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