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정보자원 재해복구 강화

 정부와 공공 성격을 갖춘 민간기업의 주요 정보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용하고 재해복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로드맵이 만들어진다.

 정통부는 29일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이번 인터넷 대란과 같은 재난·재해로부터 국가기간정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재해복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보고 오는 2007년까지 4000억원을 투입, 모든 정부 부처의 백업체계를 단계적으로 완료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로드맵을 만들기로 했다.

 이와 관련, 정통부는 지난해말 완료된 범정부적 통합전산환경의 단계적 구축을 위한 업무재설계(BPR)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복원시스템의 정보화전략 계획(ISP)을 수립,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해복구 분야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재난·재해에 대비한 정보시스템 보호를 포함한 국가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올해안에 ‘정보자원관리혁신법(가칭)’ 제정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국세·주민등록·수출입통관·시군구행정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원격지 백업센터 구축을 완료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중요 데이터를 원격지에 보관하는 기초적인 수준의 백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을 뿐 재해복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민간 전문가와 관련단체, 정부 관계자가 공동으로 범정부적 백업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성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사회 전반의 인식변화를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국가정보복원시스템에 대해 각 부처가 필요성을 인정하고는 있지만 부처별 입장이 다르다보니 지난해 4개 기관 공동백업센터 구축에 머무는 등 추진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