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으로 추진해 온 ‘전지 신뢰성 평가센터’ 설립 프로젝트가 대폭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자 업계가 크게 우려하고 있다.
5일 관련당국 및 업계에 따르면 당초 단독 프로젝트로 추진될 예정이었던 ‘전지 신뢰성 평가센터’ 설립계획이 ‘전자소재 성능평가센터’ 설립 프로젝트로 편입될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 센터 설립계획을 희망해 온 전지업계의 바람은 사실상 수포로 돌아갔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 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에 대해 인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돕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크게 퇴색되고 말았다.
산업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지 평가센터의 설립에 대해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예산이 부족해 우선 전자소재 평가센터 설립 프로젝트의 하위과제로 축소키로 결정했다”며 “내년에 과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그러나 “전지 평가센터가 전자소재 평가센터의 하부 프로젝트로 들어갈 경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아이템에 묻혀 소외되고 말 것”이라며 정부 방침에 문제점을 제기했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 수정으로 전지 신뢰성 테스트에 필요한 관련장비 구입도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부품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당초 전지 평가센터 구축을 주관했던 한국전기연구원이 정부에 11억원 가량을 요청했으나 이번에 전자소재 평가센터 산하로 포함되면서 전체 예산이 10억원 남짓으로 축소돼 테스트장비 구축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신뢰성 테스트 장비를 갖추고 있는 대형업체들은 센터설립 여부에 큰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설비를 갖추지 못한 중소 전문업체들은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전지 신뢰성 평가센터 설립계획은 반도체·디스플레이의 뒤를 이어 유망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2차전지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 2차전지 업체들이 생산하는 제품의 성능 및 안정성을 평가, 국가 차원에서 이를 인증하는 기관을 설립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된 정부 프로젝트였다.
<박지환기자 daeba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