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활용 가능한 잠재적 유휴인력 규모는 최대 700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중소기업청이 중소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조사한 ‘유휴인력의 중소기업 유입 촉진방안’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에서 잠재적 인력은 청년층(29세 이하), 중장년(30∼50세) 여성, 고령자(50∼65세) 등으로 유휴인력 규모는 최소 129만명, 최대 697만명으로 추산됐다.
이같은 유휴인력의 중소기업 유입을 위해서는 청년층에 대한 재학중 경력지도 강화, 중소기업 특화 경력개발 프로그램 마련, 여성 유휴인력에 대한 취업지도 및 탄력적 근무시간제 확산 등 정부의 지원시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고령 인력에 대한 고용시스템의 변화 및 전직 지원확대, 고령자 인력센터 운영 등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청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근무환경 및 복리후생 개선, 인적자원관리 선진화 등을 위한 지원시책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