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부산·광양 `복합 허브` 육성

 인천·부산·광양 지역 등 지방 3대 권역이 IT를 중심으로 한 ‘산업혁신클러스터’와 이를 지원하는 물류 및 금융시스템으로 결합되는 ‘복합허브’로 육성될 전망이다.

 또 인천 지역은 수도권 비즈니스 집적지로, 부산 지역은 동남권 비즈니스 집적지로, 광양 지역은 서남권 비즈니스 집적지로 발전축을 형성해 러시아·중국·일본을 잇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계획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김대환 경제2분과 간사는 6일 오후 인천공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 계획’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했다.

인수위는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으로 인천·부산·광양 3대 지역이 가장 유리한 입지를 갖추고 있다고 보고 이 지역을 중심권역으로 산업·물류·금융이 결합된 복합허브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우선적으로 IT인프라 확충을 통해 첨단산업과 부품·소재, 기술개발 및 사업화(R&BD) 중심기지로 육성하고 세계적 기업을 유치해 ‘산업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데 역점을 기울일 계획이다.

인수위는 이와 동시에 인천·부산·광양 지역을 동북아 중심물류기지로 삼아 남북한 및 유라시아 대륙연계 교통망과 종합정보망을 구축하고, 규제완화와 인적·물적 인프라 확충을 통해 금융·외환시장을 선진화한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김 간사는 “우리나라는 혁신주도형으로 진입한 단계며 나아가 자산주도형인 금융 및 사업서비스를 준비해야 하는 시기”라며 “따라서 혁신주도형인 IT·부품소재 등 첨단산업을 정착시키고 동시에 자산주도형 경제의 인프라를 닦아야 한다”고 말했다.

 외자유치를 위해서는 국내 기업과 공과대학의 연구센터를 집적해 기술융합 네트워크 형성, 국내외 혁신기업 유치로 네트워크 외부성 입증, 외국 대학의 아시아 분교와 다국적기업의 아시아센터 유치, 외국인 학교와 외국인 병원 유치 등이 추진된다.

 김 간사는 “경제적 인센티브는 재정부담이 크지만 네트워크 외부성 전략은 한번의 재정투입 후 추가비용 없이 동적 유인 및 타지역 확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