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지원체계 개편 시급

 정부의 신약개발지원자금이 보건복지부·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 등 여러 부처로 나뉘어 소액분산 집행됨에 따라 효과가 반감된다는 지적이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약협회는 최근 복지부의 신약개발지원사업 지원액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53%가 3000만원 이하의 자금을 지원받아 신약 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협회는 신약이 개발되기까지 최소 10년간 1조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원자금 운용체계를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선진국에 비해 규모면으로도 열세를 면치 못하는 신약개발지원자금이 여러 곳으로 소액분산될 뿐 아니라 관련 부처의 업무중복으로 효율성이 반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회 관계자는 “신약개발자금지원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서는 성공가능성이 큰 사업을 선택해 이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현재 3개 부처로 분산돼 있는 신약개발 지원업무를 일원화하거나 협의체를 구성해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가 집계한 부처별 보건의료기술 관련 R&D사업 현황에 따르면 2003년도 의약품 분야 신약개발 지원규모는 총 421억원으로 과기부가 165억원, 복지부 162억원, 산업자원부 9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