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시장 중국의 새로운 강제인증제도인 ‘CCC(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인증’이 오는 5월 전면 시행됨에 따라 국내 부품·산전업계의 수출전선에 초비상이 걸렸다.
특히 오래 전부터 CCC인증에 대처해온 삼성·LG 등 대기업들과 달리 국내 중소 전기전자 부품 및 산업용기기 업체들은 거의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오는 5월부터 CCC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소형파워모터·전선·가정용기기·AV기기·통신 등 19개 항목 132개 품목(HS코드 기준 320여종)은 중국내 판매가 전면 금지된다.
중국 국가품질감독검험검역총국(AQSIQ) 산하 국가인증인가감독관리위원회(CNCA)가 주관하는 CCC인증은 기존 CCIB마크와 장성(CCEE)마크를 하나로 통합한 새 강제인증제도로 반드시 CNCA가 지정한 CQC·CEMC 등 공식인증기관을 통해 안전·전자파적합성(EMC)·환경 등의 테스트와 공장심사를 거쳐 인증받을 수 있다.
이 인증은 작년초 예고되고 1년간 시행 유예기간을 거쳤으나 국내에서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CCC인증을 받은 업체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상당수가 제도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여서 5월부터 대중국 수출에 막대한 차질이 우려된다.
기술표준원 박윤수 사무관은 “현재 CCC인증업체가 100개에도 미치지 못하며, 그나마도 휴대폰·자동차 등 대기업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기술시험원 품질인증본부 이기석 연구원도 “지난해 말까지 CCC를 인증받은 어댑터 등 부품 및 주변기기 업체수는 10건도 채 안된다”고 말했다.
특히 CCC인증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요기간 및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다 전문인력까지 부족, CCC인증이 중국의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떠오르고 있다. 어댑터업체인 플래넷21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휴대폰용 어댑터 인증을 받는 데만 4개월이 소요됐다”고 밝혔다. 산업기술시험원 이경만 본부장은 “공장 심사비만도 3000달러에 달하고 숙박비·통역료 등 각종 부대비용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급박해지자 최근 기술표준원·산업기술시험원·유로E&S 등 관계기관에는 CCC인증의 개요 및 인증절차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중소 부품·산전업체들은 특히 대상품목에 어떤 제품인지, 신개발품도 적용 대상인지, 인증 면제품목은 어떤 것인지 등 제반 정보획득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LG전선의 한 관계자는 “생산중인 많은 전선 가운데 어떤 제품을 먼저 인증받아야 할지 전사적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보가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영상 및 음향 기기에 들어가는 콘덴서·트랜스포머·인쇄회로기판·플러그 등 일반 부품까지 CCC인증 대상품목에 포함될 예정”이라며 “중국이 거대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치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