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 드러난 서울스마트카드 사업

‘서울스마트카드 사업(가칭)’의 대체적 윤곽이 드러났다. 교통카드를 버스·지하철·택시 등 모든 대중교통으로 확대, 적용하고 혼잡통행료 징수와 온라인을 통한 각종 민원서류 발급, 휴대폰을 통한 모바일 지불수단 등으로도 사용토록 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기본적인 지불수단이자 인프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1000억원대 규모의 사업예산=서울시는 기존 교통카드시스템을 완전히 신규로 교체할 경우 소요비용을 약 1000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가 산출한 부문별 소요비용은 △버스 단말기와 충전기 교체비용 168억원 △지하철 단말기·충전기 교체와 자동발권시스템 구축비용 362억원 △정산센터 구축 30억원 등으로 여기에 기타 비용 등을 합쳐 총 573억원 규모다. 또 앞으로 추진될 택시의 교통시스템 구축비용과 혼잡통행료 부과 시스템 등을 포함할 경우 총 사업규모는 800억∼10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면교체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어서 앞으로 사업자들이 제안할 시스템에 따라 차이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서울시는 전면교체와 기존 시스템을 활용한 업그레이드 형태 등 다양한 시스템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사업자들이 제안한 내용을 검토,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선정할 방침이다.

 ◇민간투자 방식 도입=서울시는 이번 참여업체들과 공동으로 신교통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전담할 운영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참여업체들이 일정 금액을 출자하되 현물투자도 허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사업자들이 신교통시스템 구축비용을 부담하고 시스템운영을 통해 나오는 수익의 일정 부분을 가져가는 민간투자사업 형태가 되는 것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민간 사업자들이 교통시스템을 운영하며 나타났던 폐해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신설될 운영법인의 상당한 지분을 확보키로 했다. 이를 통해 주요의사결정권, 감사권, 이사선임권 등을 가지고 독점적 위치를 이용한 수수료 인상 등의 전횡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사업이 성공하면 서울시의 입장에서는 수백억원대의 구축비용이 소요되는 교통카드시스템 인프라를 거의 무상으로 확보하게 되고 사업수행업체는 수년간 안정적인 수익원을 보장받게 된다. 민자사업 추진으로 인해 정보시스템 이용자가 부담해야 할 이용료 문제는 ‘수익자 부담 원칙’을 들어 충분히 설득가능한 부분이다.

 ◇업계 ‘환영’ 일색=IT업계로서는 교통카드 관련 정보화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사업자로 선정될 경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레퍼런스로는 더할나위 없는 ‘보증수표’가 될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이 때문에 삼성SDS, LG CNS, 현대정보기술 등 SI업체들은 사업권 획득을 위해 총력전에 나설 방침이다. 실제로 이번 사업은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등 SI 성격이 강해 대형 SI 업체를 중심으로 사업자를 선정하게 된다. 삼성SDS와 LG CNS를 중심으로 이미 컨소시엄 구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신용카드사, 이동통신사, 시스템 구축업체, 스마트카드 공급업체 등이 대거 참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번 사업권은 삼성SDS를 중심으로 한 삼성그룹 계열과 LG CNS를 필두로 한 연합군간의 치열한 경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현대정보기술, SKC&C, 대우정보시스템 등도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사업제안서(RFP)가 공식 발표되지 않은 상태여서 각 컨소시엄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안서 마감시기인 7월께야 확실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