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창투조합 투자분에 대한 유동화 펀드, 벤처구조조정 전문펀드, 벤처캐피털 규제 완화 및 창투조합의 유연화·다양화 등이 벤처구조조정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프로그램으로 제시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이인찬 실장과 김성현 연구위원은 28일 KISDI의 이슈리포트 ‘벤처부문의 구조조정’에서 “벤처기업들이 위기에 빠진 가운데 벤처정책의 초점을 구조조정시장 조성에 맞춰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구조조정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근거법·관련 부처 등이 서로 다른 미공개기업거래시장(Private Equity Market)의 장벽을 허물어 전문성을 갖춘 투자자들이 성장단계별로 벤처에 지원과 통제를 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아울러 이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 벤처캐피털 창업투자조합이 지분을 보유한 기업 중 조합수명기간에 기업공개(IPO)가 어려운 경우 그 지분을 인수해 추가적인 구조조정을 수행하는 유동화 펀드를 결성하고 △벤처캐피털 투자기업에 국한하지 않고 미공개 벤처업체를 대상으로 경영권을 인수, 구조조정을 수행하는 벤처구조조정 전문펀드를 결성하며 △구주매입을 통한 경영권 인수 등을 허용하는 벤처캐피털 규제 완화 및 창투조합의 유연화·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인찬 실장은 “업계에서는 정부로부터 프라이머리CBO 등을 통해 지원받은 벤처 중 30% 이상의 부실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책의 초점이 구조조정에 맞춰져야 하는 시점”이라며 “인수기업의 가치가 떨어진 반면 정부의 투자조합 출자 등 투자재원이 7000억∼8000억원 가량으로 풍부해진 만큼 이에 발맞춘 구조조정 유인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