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코스닥 시장을 등록기업에 따라 4개 범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우량시장과 일반시장으로 구분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코스닥위원회는 10일 한국증권연구원이 작성한 ‘코스닥 시장 진입 기준 개선방안 보고서’를 검토중인 단계이며 오는 25일 이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한 공청회를 거쳐 이르면 다음달 중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위원회도 이날 코스닥위원회와 함께 증권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코스닥 시장의 진입 기준을 개선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확인했다.
증권연구원의 보고서는 코스닥 시장 진입시 기업들을 일반기업Ⅰ과Ⅱ, 성장형기업(벤처기업)Ⅰ과 Ⅱ 등 총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이들 기업을 경영투명성을 기준으로 우량시장(K-Class)과 일반시장(S-Class)으로 구분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또 코스닥등록 희망기업은 자의로 시장을 선택할 수 있지만 우량시장을 선택할 경우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투명성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출하는 등 일정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밖에 현재의 코스닥 50지수의 숫자가 많고 시장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보완하는 다양한 지수상품을 개발하는 방안도 발표될 예정이다. <조장은기자 jech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