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 산하의 ‘상품판매심의위원회’ 구성을 놓고 TV홈쇼핑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1년 임기의 상품판매심의위원회 심의위원 자격을 놓고 시비가 끊이지 않은 상황에서 방송위가 새로운 위원 구성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TV홈쇼핑 사업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후발 사업자 재승인, 신규 홈쇼핑 채널 선정, 사업자 지분 이동 등 위원회가 처리해야 할 홈쇼핑 업계의 현안이 줄줄이 걸려 있어 위원들의 성향에 따라 정책 방향이 크게 엇갈릴 전망이다. 이에 홈쇼핑업계가 새 위원회 구성에 일거수 일투족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품판매심의위원회는 방송 광고와 홈쇼핑 채널 사업자의 상품 프로그램 심의를 담당하며 방송위 산하 위원회 가운데 홈쇼핑 업무를 직접 관할하는 기구다. 심의위원회는 매년 1년 단위로 위원이 교체되며 이달 임기가 만료된다. 이에 방송위는 이달 중순까지 위원 위촉을 마무리해 새로운 위원회를 출범시킨다는 방침이다. 상품심의위원회는 특히 유통과 방송이 융합된 특수채널인 홈쇼핑 등 상업방송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상당한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따라서 홈쇼핑업계는 지금까지 위원들이 전문성이나 자격에 거리가 있다며 노골적인 불만을 피력해 왔다.
실례로 지난 1년 동안 이끌었던 심의위원회 위원을 보면 광고기획사 대표 출신인인 최주호 위원장을 제외하고는 방송과 유통분야 지식과 경험을 두루 겸비한 전문가가 거의 없는 상태다. 대부분의 위원이 구색 맞추기 식으로 소비자단체와 학계에 자리 배정하는 방식으로 위원을 위촉해 홈쇼핑 업계에서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왔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심의업무를 위원회가 주도하기보다는 방송위 실무부서에서 모든 준비를 끝내고 이를 형식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왔다.
홈쇼핑 업계에서는 “위원 전부는 힘들지라도 일부는 홈쇼핑 업무 특성상 방송과 유통을 고루 알고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지만 이를 충족하는 위원은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이 때문에 심의업무가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으로 원칙없이 진행된 사례가 많았다”고 말했다.
CJ홈쇼핑의 한 관계자는 “새 위원회 구성을 앞두고 있지만 기존 위원이 그대로 있는 것이 홈쇼핑 발전을 위해서는 도움이 된다”며 “새 위원이 홈쇼핑의 기본업무를 인지하고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시행착오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위 최준근 심의국장은 이에 대해 “상품심의 위원 위촉과 관련해 명확한 기준이 없었던 게 사실”이라며 “이달 중순까지 위원회를 열어 전문성을 감안한 위원을 위촉할 수 있도록 나름의 원칙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