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물류에 유비쿼터스 접목 추진

 정부가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사람이나 제품, 차량 등에 부착한 칩의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유비쿼터스 유통물류산업 지원에 본격 나선다.

 김종갑 산업자원부 차관보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참여정부의 유통-물류 정책방향’ 조찬 간담회에서 “최근 미국 월마트가 오는 2005년부터 기존 바코드를 대체할 무선주파수인식(RFID)기술을 도입키로 발표하는 등 세계적인 유통물류기업들의 RFID 시스템 도입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RFID의 확산과 산업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RFID 도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이달중 RFID의 활용확산과 산업화를 위해 유통정보센터를 주관기관으로 이마트·CJ GLS·한국파레트풀 등 주요 유통물류업체와 물류협회·체인스토어협회·대한상공회의소 등이 참여하는 RFID 시범사업전담(TF)팀을 발족시키기로 했다.

 시범사업전담팀은 우선 유통물류 등 활용이 쉬운 분야부터 재고 및 판매관리, 결품관리 등을 시범적용하고 단계적으로 고가의류, 디지털가전, 자동차부품, 농산물·식품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IC칩, 태그 부착 등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화를 위해 산업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기술표준원·표준협회·유통정보센터 등 관련기관과 업계를 참여시킨 협의체를 구성해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유통표준화기구(EAN/UCC) 등에서 논의하고 있는 RFID 관련 표준화 협의과정에 적극 대응키로 했다.

 RFID는 제품에 부착된 칩의 정보를 주파수를 이용해 읽고 쓸 수 있는 무선주파수 인식기술로 유통경로의 모든 정보를 추적, 정확한 수요예측과 재고관리를 가능케 함으로써 상품인식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절감은 물론 유통물류의 자동화와 고속화를 통해 기업물류비 절감효과를 꾀할 수 있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