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산업 육성 팔걷었다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과 ‘부품소재통합연구단’이 대일 무역 역조의 주범으로 손꼽히는 전자·부품의 소재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섰다.

 그동안 전문인력 부재·재원마련 난항 등으로 인해 기술 혁신에 큰 애로를 겪는 전자·부품 소재업체들을 집중 지원하기 위해 기존 제도 문제점을 보완한 별도의 육성 프로그램을 마련하거나 기획하고 있다.

 전자부품연구원(원장 김춘호)은 2차전지·디스플레이·무선통신부품 등 전자 소재산업 육성에 포커스를 두고 이에 대한 핵심 및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최근 요업기술원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이에 대한 구체 사업기획안을 생활산업국과 함께 작성중이다.

 특히 업체가 전자소재를 개발한 후 사업화를 위해서는 투자를 받아야 하는데 창투사가 투자 리스크를 우려, 기피하고 있어 이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산업적인 파급효과가 크면서 투자 위험도가 높은 전자 소재를 정부 차원에서 집중 육성한다.

 산자부 생활산업국 한 관계자는 “선진국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전자소재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따라서 내년께 약 200억원 규모의 사업예산을 기획예산처에 요청, 전자소재의 산업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품소재통합연구단(단장 주덕영)도 3년 전부터 시행중인 부품·소재기술개발 사업중 소재 분야를 올 하반기부터 보다 강화하기로 했다. 연구단측은 이제까지 부품에 비해 소재 업체의 기술지원 사업이 취약했다고 판단, 자본재산업국으로부터 금속·부품 등 소재 업체만을 지원하기 위해 70억원의 예산을 별도로 배정받았다.

 또 기존에는 소재 업체가 지원 자격을 얻기 위해 3개 이상의 창투사를 반드시 참여시켜야 했으나 이제는 1개의 창투사만이 참여해도 가능하게끔 지원자격 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이는 캐스팅 보드를 쥔 창투사가 소재 업체의 기술 가치를 의도적으로 평가절하, 부당이익을 취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부품소재통합연구단 이덕근 소장은 “소재 업체에 대한 정부지원 비율이 종전 50%에서 80%로 확대될 예정”이라며 “현재 수출입물량이 많은 277개 품목 가운데 대일 역조 개선이 시급한 핵심 소재 200개 품목을 9월께 최종 선정한다”고 밝혔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