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동북아 연구개발(R&D) 허브 구축을 주도하기 위해선 EU의 ‘프레임워크(framework) 프로그램’이나 유레카(EUREKA)처럼 한·중·일 3국간 다자간 공동연구 체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주관으로 18일 오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동북아 R&D허브 구축방안’ 1차 워크숍에서 홍유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석좌연구위원과 이우광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동북아 3국간 과학기술협력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지적했다.
두 사람은 “3국은 첨단기술과 고부가산업에 주력하는 ‘원셋(One-Set)형 경제를 추구, 기술개발 및 산업의 분업은 어렵다”고 전제, 한국이 R&D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선 △인력개발 및 교류 △과학기술 정보유통 강화 △산업기술협력 및 전략적 기술제휴 확대 △지역 클러스터 상호진출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선양 세종대 교수는 “이제 과학기술 및 경제활동의 핵심 주체는 국가가 아니라 지역이란 점에서 R&D허브 구축을 위해선 개별 지역이 추진주체가 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혁신체제(Local Innovation System) 구축과 북한과의 상호보완적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상혁 호서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실용화 능력, IT인프라, 지정학적 위치 등에서 글로벌화에 유리하다”며 “그러나 핵심 원천기술이 부족하고 노동시장과 경영투명성성에 문제가 있어 다국적기업의 R&D센터 유치를 위한 파격적인 유인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STEPI 이춘군 부연구위원은 “핵문제가 동북아 과학기술 협력구도에 위협을 줄 가능성이 큰 만큼 우선 남북한간 과학기술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최근 ‘새로운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2003∼2007년)’을 발표했다.
한편 과기부는 지난 3월부터 산·학·연 전문가로 동북아 R&D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운영, 정책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오는 9월 2차 워크숍을 거쳐 10월께 세부 실천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