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초빙교수 "연봉 1억원, 못가요!"

 정보통신부가 해외 유명 교수들을 초빙, 국내 대학강단에 세우는 해외교수초빙사업이 낮은 연봉 수준 등으로 지원자 모집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해외교수초빙사업은 특정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 석학들을 스카우트해 국내 대학과 계약을 맺고 한학기나 1년 등 한시적인 기간 동안 강의를 맡도록 하는 프로젝트. 지난 2001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첫해에는 지원자가 없었고 작년에는 15명의 교수를 초빙했으나 올해 공개모집에서 또 지원자가 나서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원장 김태현) 신준우 팀장은 “북핵 등 안보문제, 자녀 교육시설 부재 등 우리나라에 대한 대외 이미지가 좋지 않은 탓에 공개모집에 응하는 지원자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 대학교수들과 교육 관계자들은 지원자가 없는 보다 근본적인 까닭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낮게 책정된 연봉 수준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해외 석학들을 초빙해 강의를 맡길 경우 통상 20만달러에서 30만달러 수준의 연봉을 지급하는 것이 관례로 돼 있다. 우리돈으로 환산할 경우 2억원, 3억원을 훌쩍 넘는 액수다.

 그러나 해외교수초빙사업에서 정통부가 책정한 적정 연봉 기준은 1억원이 조금 넘는 10만달러. 정통부는 10만달러 한도 내에서 해외교수를 채용한 대학에 스카우트 비용과 연봉을 포함한 전체 비용의 70%를 지원하고 나머지 30%는 해당 대학이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10만달러가 넘을 경우 초빙 강사가 연봉에 대한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해당 대학은 최고 1억원까지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해외교수초빙사업은 국내 대학과 자매결연 관계에 있는 해외 대학교수나 한국인출신 교수, 상대적으로 연봉 수준이 낮은 인도나 동남아 등지의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수들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교수초빙사업은 단순히 강의 실력이 우수한 해외교수들을 데려와 학사과정의 질을 높이기보다는 막강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해외 유명 석학들을 초빙, 국내 대학과 연을 맺게 하는 효과가 더 크다”며 “글로벌 마인드가 부족한 해외교수초빙사업은 결국 해외교수뿐 아니라 이들과 시너지를 발휘해야 할 국내 대학교수, 학생들로부터도 호응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윤아기자 forang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