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89.9% CCTV 등 보안감시장치 설치운영

 

  

 전국 사업장 열 곳 중 아홉 곳은 폐쇄회로TV(CCTV) 카메라, 컴퓨터 하드디스크 검사 등 노동통제 우려가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노총 등 9개 시민사회단체 모임인 ‘노동자 감시 근절을 위한 연대모임’은 31일 오전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0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안관리시스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대상 사업장의 89.9%는 회사측이 사업장에 인터넷 감시, 하드 디스크 내용 검사, 전화 송수신 기록, CCTV 카메라 설치, 전자신분증, 전사적자원관리(ERP)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설치했다고 답했다.

 시스템별로는 CCTV 설치율이 57.0%로 가장 높았고 전자신분증(56.5%), 하드디스크 검사(44.0%), 인터넷 감시(41.5%), ERP(29.5%), 전화 송수신기록(24.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장별로 평균 2.5개의 감시장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정 홈페이지나 전자우편을 차단한 73개 사업장은 71.2%가 음란물을 통제했지만 노동조합 및 정당·시민단체 홈페이지와 전자우편을 통제하는 경우도 각각 9.6%와 1.4%로 조사됐다. 홈페이지 방문이나 전자우편 이용현황을 기록하는 48개 사업장도 66.7%가 단순기록이었지만 게시판 및 e메일 작성내용 등 입력내용까지 기록하는 경우가 18.8%나 됐고 37.5%는 기록 내용을 1개월 이상 보관하도록 돼 있다. 전화 송수신을 기록하는 50개 사업장은 56%가 송수신 횟수, 시간을 단순 기록했으나 34.0%는 전화번호와 통화장소를 기록했고 6%는 통화내용까지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