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일본 및 미국산 리튬1차전지와 일본산 산업용 로봇에 대한 덤핑조사에 나선다.
무역위원회(위원장 이영란)는 4일 비츠로셀이 신청한 일본·미국산 리튬1차전지와 현대중공업이 신청한 일본산 6축수직다관절형 산업용로봇의 덤핑수입사실 및 국내산업 피해유무에 대해 조사를 개시키로 결정했다.
이에앞서 무역위는 3일 열린 제192차 회의에서 조만간 리튬1차전지와 산업용로봇에 대한 조사단을 구성하고 일본 수출업체와 한국 수입업체, 수요자, 한국내 생산업체 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조사에 착수키로 했다.
무역위는 리튬전지 전문업체인 비츠로셀이 “일본 산요·미쓰비시·도시바와 미국 듀라셀 등 7개사가 리튬1차전지를 덤핑수입(덤핑률 94.34∼166.38%)하면서 자사 시장점유율이 하락하고 영업이익이 감소, 덤핑방지관세 부과에 필요한 조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카메라 및 통신기기 전원으로 사용되는 리튬1차전지의 국내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연간 76억원이며 이가운데 88.2%가 수입품이다.
무역위는 현대중공업도 같은달 일본 야스카와·가와사키 등 4개사를 대상으로 산업용로봇의 덤핑수입(덤핑율 34.04∼52.34%)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되고 재고율이 증가한다며 조사를 요청했다.
자동차의 용접 및 핸들링용 등에 사용되는 6축수다관절형 산업용로봇은 국내 시장규모가 지난해 기준 470억원이며 이 가운데 78.7%가 수입품(수입품중 일본산은 92%)이다.
한편 무역위는 이번 조사가 끝나면 3개월 내에 예비판정을 통해 잠정 덤핑방지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하고 다시 3개월 내 최종판정을 내리게 된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