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을 비롯한 새로운 무선기술이 10대 청소년들의 뇌를 조기에 노화시킬 수도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영국의 일간지 인디펜던트 인터넷판이 14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스웨덴 룬드대학의 라이프 살포드 교수는 10대 청소년들은 전자레인지에서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전자파에 뇌를 노출시키고 있는 ‘사상 최대의 인체 생물학 실험’ 속에 놓여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새 무선기술의 확산으로 사람들이 “전자파 바다에서 익사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살포드 교수는 이와 관련해 내놓은 연구 보고서에서 낮은 수준의 전자파만으로도 혈액 뇌관문에서 단백질을 유출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살포드 교수팀은 또 15년간의 연구 끝에 전자파가 혈액 뇌관문을 열어 알부민이라는 단백질이 뇌 속으로 침투하게 한다는 점을 입증했으며 최근에는 이런 과정이 뇌에 중대한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새 연구결과도 내놓았다. 그는 보통 60세가 돼야 노화현상을 보이는 뇌의 신경세포가 전자파의 영향으로 30대에도 노화 현상을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살포드 교수는 그러나 전자파가 장기적으로 뇌에 피해를 미친다는 부분을 입증하지는 못했다. 그는 또 뇌신경 세포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스로 복구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성호철기자 hcs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