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주식투자 소극적

 국내 은행들이 주식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민주당 조재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20개 은행이 올 상반기에 순수한 주식투자를 위해 보유한 주식(계열사 주식, 출자전환 주식 등 제외)의 1일 평균잔액은 380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해 1일 평균잔액(4576억원)의 83%수준이며 2001년(4124억원)과 비교해도 92%에 그쳐, 국내 은행들이 주식시장 활성화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최근 국내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높이는 데만 주력하고 기관투자가의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의 올 상반기 1일 평균잔액이 824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농협(809억원), 국민은행(648억원), 신한은행(466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은행과 조흥은행, 제일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등은 올 상반기에 주식투자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투자 규모는 줄었지만 국내 은행들은 최근 주가상승에 편승, 지난해 말 기준 410억원의 손실에서 벗어나 6월말 현재 616억원의 이익(평가익 포함)을 올렸다. 우리은행이 139억원으로 최대이익을 남겼고 농협은 97억원, 국민은행 86억원, 신한은행 83억원 등이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