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효자상품인 유럽형 이동전화(GSM)에 대한 총체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박헌기 의원(한나라당)은 18일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GSM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GSM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인증시험기관 및 테스트베드의 구축과 함께 외산단말기 국내 수입·유통에 대비한 법·제도의 정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정부의 정책이 CDMA 육성에 집중되어 있는데다 중소업체들이 국내에 GSM 테스트베드가 없어 직접 외국에 나가 테스트와 인증을 받는 실정”이라며 “장비와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인증시 핵심기술의 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GSM 인증시험기관 및 테스트베드 국내 설립시 우려되는 통상마찰과 그밖에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해 다양한 지원수단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통신부가 제출한 이동통신단말기 수출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 GSM 단말기 수출은 2000년 37억600만달러(50.9%), 2001년 46억7600만달러(54.9%), 2002년 71억3900만달러(64.4%) 등 높은 성장세를 보여 주고 있으며 올해에는 1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CDMA 단말기 수출은 2000년 35억7600만달러(49.1%), 2001년 38억39만달러(45.1%), 2002년 41억5200만달러(36.2%)에 그치고 있다.
<김익종기자 ij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