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전략협의회` 발족 의미

공조체제 가동…IPv6 보급 가속

 ‘IPv6 보급 탄력 받나’ 정부와 각 기관 및 대표들로 구성된 차세대인터넷프로토콜(IPv6) 전략협의회가 공식 발족하면서 그동안 정체현상을 보여왔던 IPv6 보급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졌다.

 그러나 IPv6가 통신·방송·인터넷의 융합을 촉진할 광대역통합망(BcN)과 디지털홈의 근간이 되는만큼 이를 조기 확산시키려면 내년도 사업계획에 보다 구체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날 참석한 업체 관계자들은 IPv6 테스트망 및 시설 등 각종 인프라 구축이 조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공 등 정책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요구했다.

 ◇IPv6 무게 실린다=지난 9월 정통부가 IPv6 보급확대를 위해 전면에 나서겠다는 정책 발표를 하면서 결성한 게 이번 전략협의회다. 정통부는 당시 인터넷 주속 부족 문제 해결과 인터넷망 고도화를 위해 2007년까지 188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19일 첫 회의부터 위원장인 진대제 장관을 위시해 석호익 정보화기획실장, 송정희 정책자문관, 서삼영 한국전산원장, 이번 ETRI 원장 직무대행 등 각 기관장을 비롯해 윤종록 KT 전무, 윤창번 하나로통신 사장, 천경준 삼성전자 부사장, 이희국 LG전자기술연구원 사장 등 민·관·연 최고 의사결정자들이 대거 참석한 것도 이같은 정부의 의지에 힘입은 것이다. 2차 회의에선 각 기관 및 기업별로 실행가능한 사업계획을 갖고 모일 예정이다.

 ◇국내 준비 현황=현재 우리나라의 IPv6 준비상황은 각 기간 및 업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게 장비업체다. 삼성전자는 이미 IPv6 라우터를 개발,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LG전자도 라우터 등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간통신사업자인 KT는 이미 디지털홈 시범사업 등과 연계, 2007년까지 전송망 및 가입자망을 IPv6체계로 바꾼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SK텔레콤과 KTF, LGT 등 이동통신사업자들도 테스트망을 확보해놓고 있다.

 또한 한국전산원은 지난 2001년부터 시범망을 구축, 운영중이며 이번 전략협의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IPv6시범망(KOREAv6)를 확대해 내년부터 공개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네트워크 연구조합도 중소업체들을 대상으로 관련 기술 개발을 유도하며 KRNIC 등은 대외 활동을 통해 IT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

 ◇과제=IPv6는 현재 급속히 융합되는 통신과 방송, 인터넷망의 근간을 인터넷 프로토콜(IP)로 바꾸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모든 동영상과 화상, 음성 등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통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터넷 주소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또 최근 세계 최대의 휴대폰업체인 노키아가 IPv6를 활용한 인터넷 휴대폰을 만드는 것처럼 유무선을 가리지 않고 새로운 통합 주소가 필요하게 된 셈이다.

 한국전산원 김유정 팀장은 “IPv6 전략협의회를 통하여 국내외 관련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각기 개별적으로 추진해 오던 IPv6 사업에 민·관 합동으로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국내 IPv6 보급 촉진이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