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형 발전전략 위해 이공계 공직진출 확대 시급"

 김태유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28일 한국IT리더스포럼 조찬강연에서 “아일랜드나 핀란드와 같은 기술혁신형 국가발전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며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공계의 공직진출 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김 보좌관은 “기술선도형 발전전략을 채택한 영국, 프랑스 등은 생산력이 체증하는 산업사회 모델로 생산력이 체감하는 농업사회에서 선진국인 중국 등을 따라잡았고 국가주도의 기술추격형 전략을 세운 일본, 독일은 또 다시 영국, 프랑스를 따라잡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WTO체제아래 기술선도형 선진국들이 강력한 국제규범 준수를 요구하는 가운데 기술추격형 전략의 선택은 오히려 기술종속을 심화시키고 기술혁신 역량을 도태시킬 수 있다”며 “이는 산업사회가 선진국과 후발국간 격차가 벌이질 수밖에 없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보좌관은 “따라서 우리같은 후발국이 채택할 발전전략은 기술혁신형 전략”이라며 “정보기술(IT)를 중심으로 첨단기술에 대한 국가역량의 집중을 통해 국민소득 3만 달러의 선진국에 등극한 핀란드와 아일랜드 같은 기술혁신형 발전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등 이웃국가와의 분업모델이 힘든 만큼 과거의 선택과 집중에서 한 단계 나아간 투자재원의 확대재생산 전략과 기술인프라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마인드를 가진 이공계 전문인력이 정책의 입안 및 의사결정과정에 많이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보좌관은 “현재 이공계 인력이 20만 명으로 크게 줄었고 우수한 인재들이 한의대나 약대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국가의 미래는 없다”며 이자리에 참석한 IT업계 원로들에 이공계 기피현상을 해소하는 데 힘을 실어줄 것을 당부했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