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네트워크 시범사업 `IP공유` 단말기·통신업체간 `논란`

 정부의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추진으로 한동안 잠잠했던 IP공유문제가 다시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12일 홈네트워크 컨소시엄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정내 각 단말기에 IP를 부여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단말기업계와 통신업계간 입장이 서로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홈네트워크 단말기업계는 홈네트워크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IP 공유가 필요하며 정부차원의 정책적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반면 통신업계는 IP는 공유하는게 아니라 추가로 확보해야 하며 단말기별로 차등화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통신업계=원칙적으로 IP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KT관계자는 “가정 안에서 하나의 ADSL망으로 사설 IP장비를 이용해 IP를 공유하는 것은 현재로선 불법”이라며 “다만, 경쟁사와의 지나친 경쟁 관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적극적으로 단속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KT는 그러나 정통부가 추진중인 홈네트워크 시범사업에 대해서는 ‘IP공유’를 허용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시범사업 단계여서 홈네트워크에 소요되는 IP수가 기껏해야 1000여개에 정도에 불과해 이를 허용할수 있지만 인터넷 주소체계가 IPV6로 바뀌고 그에 맞는 가전제품이 잇따라 등장하게 되면 요금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통신업체들은 또 같은 IP를 사용하더라도 단순히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대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말기는 IP사용요금에 있어서 차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단말기업계=홈네트워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시범사업을 계기로 IP공유 또는 복수IP 사용에 대해 제도적인 접근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시범사업에서만 IP를 공유하도록 하고 실제 사업에서는 IP를 공유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IP별로 요금을 내라고 한다면 홈네트워크 확산에는 매우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대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말기에대한 요금차별화도 곤란하다는 주장이다.

 ◇IP추가 왜 필요한가=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정내 단말기를 전력선통신(PLC)이나 IEEE1394·블루투스·무선랜 등의 수단으로 연결해야 한다. 세탁기나 냉장고 등 제어해야 할 데이터가 많지 않은 경우 PLC방식으로 연결되고 별도로 IP를 부여할 필요가 없지만, PC나 노트북·PDA·웹카메라 등과 같은 정보기기류는 별도의 IP를 부여해 제어해야 한다. 한개의 IP를 가지고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서버를 이용해 여러 단말기가 공유해도 되지만, 인터넷 IP자원이 무한한 IPV6가 상용화되면 각 단말기마다 독립적인 IP를 부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