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산업은행이 LG카드 정상화 지원계획을 발표하면서 LG카드 사태는 일단 소강국면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위탁경영 방식으로 해결됨에 따라 기업의 부실을 또다시 국민의 세금으로 해결하는 꼴이 됐다.
특히 LG그룹의 몇몇 관계사와 관련 주주들이 이번 사태가 불거지기 전에 LG카드 지분을 매각해 막대한 차익을 남겼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의 박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실제로 증권거래소 등에 따르면 구태회 LG전선 명예회장을 비롯해 구두회·평회씨 등 LG전선과 LG산전 대주주들은 계열분리를 위한 요건 충족을 위해 작년초부터 지난해 말까지 LG카드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 대주주는 1700억원의 매각차익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앞서 LG전선그룹의 관계사인 LG산전도 LG카드 설립 당시부터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구주매출방식으로 지난 2000년과 2001년 각각 워버그핀커스와 체리스톤사에 주당 3만1000원대에 매각, 총 4600억원 가량의 차익을 남긴 바 있다. 이밖에 LG전자도 유사 방식으로 2100억원의 매각익을 챙겼다.
이에 대해 LG전선그룹 관계자는 “LG산전이 주식처분 이익을 본 것은 LG카드의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기 한참 이전인 지난 2000∼2001년 당시의 상황”이라고 밝히고 있다. 구씨 일가의 처분익 발생에 대해서도 이 관계자는 “계열 분리를 위한 의무 처분이었을 뿐”이라며 책임문제에서 한발 비켜 서려는 모습이다.
하지만 지난 8일 김진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정례브리핑을 통해 “LG그룹에는 그동안 주가 상승 등으로 많은 이익을 본 만큼 현행 법체계 내에서 책임을 지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설득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13일에는 조학국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도 “LG그룹의 LG카드 지원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설립 취지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등 정부도 그룹 차원의 지원과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도의적으로는 미안하되, 법적인 책임은 없다’ ‘할만큼은 했다’는 LG그룹측의 말은 1조원에 이르는 LG카드 개인투자자들의 손실 앞에서 초라해진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