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조류독감 `걱정 뚝`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농산물 이력관리시스템 개념도

 ‘안심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우리 농산물과 식탁, 정보화가 보장한다.’

최근 조류독감, 광우병 등으로 인해 농식품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농림부가 우리 농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농식품안전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농축식품안전 관련정보의 체계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식품안전 통합정보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오는 2007년까지 구축될 식품안전관리 정보체계에는 △농축산 농가이력정보통계 및 농축식품정보 DB체계 △농축산물 식별코드(RFID) 표준 △국내가축방역 지리정보시스템(GIS) △국경검역 DB체계 구현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국민 모두가 식품안전 관련 법률, 통계, 리콜, 생산 이력 현황 등 다양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양방향 농축식품안전 정보교류 포털(http://www.foodsafety.go.kr)을 구현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이 가운데 농산물 이력 정보를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농산물 이력관리시스템은 식품 생산단계부터 유통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사례. 농산물에 부착된 이력 관리 번호와 웹주소가 인쇄된 라벨을 보고 소비자가 농산물 생산지 및 원산지와 생산환경, 재배 정보 등의 상세한 내용을 인터넷으로 직접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전남 장성의 학사농장(대파, 상추, 토마토 등)과 경북 성주 도흥리 정보화마을(참외) 등 채소류 6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중인 농산물 이력관리서비스(http://www.atrace.net)는 향후 쌀 등 식량 및 특용작물은 물론 과수, 채소 등 1400여 개 품목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농림부는 또한 올 하반기부터 농축식품안전 전반에 대한 중장기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을 추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2007년까지 관련기관 간 정보지식 공유 및 공동활용 DB구축과 국민참여 양방향 농축식품안전정보포탈 구현 등을 단계별로 추진키로 했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