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와 산자부가 나노팹(Fab.) 대 나노기술집적센터 구축 구도를 갖춘 가운데 나노기술(NT)지원과 관련해 두 부처가 정책 주도권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습은 최근 산자부에서 나노기술집적센터 구축계획 발표와 함께 센터 후보지역 물색에 나서자 과기부가 나노기술에 관련한 종합 조정권을 놓고 불편한 심기를 보이면서 더욱 불거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과기부, “인프라 효율성 살려야”=나노 종합팹과 특화팹 등 총 1680억원 규모의 나노기술 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해온 과기부는 그동안 만들어온 나노기술 육성 체제를 흔들지 않고 관련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산자부가 새로 설립하는 나노기술집적센터 운영에 참여해야한다는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과기부 관계자는 “나노 종합팹과 특화팹 외에 나노기술 인프라 시설인 나노기술집적센터를 만들어 연구는 물론 산업화를 촉진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나 “4개로 늘어나는 나노 인프라 시설의 종합 조정 관리는 과기부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최근 과기부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과 관련 정책을 종합하는 역할에 무게는 두기로 한 만큼 새로 만들어지는 나노기술집적센터의 운영에 과기부가 처음부터 관여해야 업무 중복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자부, “상업적 성공 담보해야”=산자부 측은 나노기술집적센터가 과기부의 종합팹이나 특화팹과 달리 나노기술 산업화에 초점을 맞춰 중복되는 영역이 없다는 입장이다. 나노기술집적센터는 되도록 나노팹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구축해 중복성을 피하면서 기존 나노팹과 센터가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열린 나노기술집적센터 구축사업 추진 계획 발표회에서 산자부 관계자는 “종합팹은 실리콘계나노소자에, 특화팹은 비실리콘계나노소자에 초점을 맞춰 나노소재와 장비개발을 추진하게 될 나노기술집적센터와 중복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산자부에서 추진하는 센터는 산업체와 테크노파크 등이 중심이 돼 향후 5년 이내 상품화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과기부의 나노팹 방식만으로는 상업적 성공을 담보하기에 부족하다”며 “10대 주력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고기능성 소재의 수입 의존도가 증가하는 등 이를 막기 위한 관련 기술 상품화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나노기술집적센터 설립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
과기부, 산자부 `나노집적센터`운영 참여 주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나노종합팹·나노특화팹과 나노기술집적센터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