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핵심과제로 추진되는 정보기술아키텍처(ITA) 적용사업이 전체적인 사업 방향을 상실한 채 혼선을 빚고 있다.
14일 관련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범국가 차원의 효율적인 업무처리와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을 서두르고 있으나 ITA에 대한 개념상의 혼란 및 오해, 핵심 전문인력 태부족, 추진체계 문제 등이 겹치면서 삐걱거리고 있다.
◇ITA 개념 혼란=ITA(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혹은 EA(Enterprise Architecture)로 통용되는 정보기술아키텍처는 미 국방부가 지난 91년 걸프전을 계기로 군 지휘통제시 관계기관 및 정보시스템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의 중요성을 절감, 도입한 일종의 방법론이다. 따라서 미국 예산정책처(OMB)는 ITA를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정보기술자원 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의 업무·정보·시스템·정보기술 등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ITA 개념이 정보시스템을 단순히 통합관리해 관리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론이자 심하게는 ‘ISP 확장판’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ITA 도입의 핵심인 조직 목표와의 일치, 조직간 상호운용성 확보, 정보교환요구사항(IER) 파악 등은 무시된 채 일종의 유행처럼 추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적용이 CALS(Commerce at Light Speed)처럼 단어와 개념에 매몰돼 방향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ITA가 SI시장이 침체되면서 사업자들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새롭게 들고나온 개념에 불과하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전문인력 태부족=최근 모 단체의 ITA강의를 들은 행자부 관계자는 “35시간에 달하는 강의를 빠짐없이 들었지만 전문가라는 강사 10여명이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개념을 모두 다르게 얘기하더라”며 “기존의 정보전략계획(ISP)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해 헷갈리기만 하다”고 꼬집었다.
최근 IT관련 협단체들이 잇따라 개설한 ITA/EA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ITA 개념상의 혼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강사마다 ITA의 개념과 도입목적 및 도입방법에 대해 다르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 따라서 이같은 ITA 전문과정을 통해 수강자들이 배출되더라도 이들이 과연 현업에서 ITA 전문가로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을지 의문시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ITA 추진실무를 담당하는 시스템통합(SI) 업체들도 ITA 개념에 대한 이해가 제각각이다.
최근 국방부와 KT, KTF 등의 ITA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쌍용정보통신 관계자는 “자칫 잘못하다가는 오히려 기존 정보전략계획 수립보다 별로 나을 것도 없는 일을 하면서 컨설팅업체에 비용만 비싸게 지불하는 사태가 빚어질 가능성도 농후하다”고 지적했다.
◇끊임없는 추진체계 논란=정통부가 ITA사업을 전담토록 한 전자정부전문위의 결정에 대해서도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ITA가 단순히 정보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범부처 조직운영 차원에서 정부기능연계모델(BRM) 및 범정부 통합전산환경 구축 과제와도 긴밀히 연계돼야 한다는 점에서 이들 과제별 추진기관을 하나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전자정부전문위는 ITA는 정통부에, BRM 개발과 통합전산환경 구축은 행자부에 각각 분할 위임했다.
행자부 정국환 전자정부국장은 “ITA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행자부와 정통부간에 시각차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이미 부처간 과제분담이 이뤄진 만큼 이제는 효율적인 ITA 구현 방안을 함께 모색해보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
사진; 정부가 범국가 차원의 효율적인 업무처리와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정보기술아키텍처(ITA) 도입을 서두르고 있으나 ITA 개념에 대한 혼란으로 전체적인 사업 방향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정부가 최근 개최한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련 행사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