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에 산재한 500여 산업단지를 연구개발(R&D) 및 기업활동 지원기능까지 갖춘 혁신형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 권역별 산학협력중심대학에 매년 400억원씩 향후 5년간 총 2000억원을 투입, 집중 지원한다. 또 기업체에서 R&D를 성공리에 마친 연구원이 대학에서 수여하는 석박사 학위를 취득해 교수로 임용될 수 있는 길을 연내에 마련키로 했다.
22일 산업자원부·교육인적자원부·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기존 산업단지를 혁신형 클러스터로 만들고 공대인력을 기업수요에 적합하게 양성하기 위한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정책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전국을 수도권, 강원권, 대구·경북권 등 8개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로 △일반대는 1개교 △산업대는 2개교까지 최대 13개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일반대학의 경우 공대를 중심으로, 산업대는 대학단위로 구성해야 하며, 단독 혹은 다른 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정부는 산업계 출신 교수임용과 계약형학과 설치 등을 통한 혁신적 교육체제 개편까지 준비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기술자문회의 및 청와대의 고위 관계자는 이날 “대학과 산업체, 연구소 사이의 인력 교류가 부족하고 이로 인해 산업체 수요와 대학교육의 괴리가 심각해 산·학·연 협력 시스템이 국가성장동력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산업 석박사 제도’ 도입을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 “연내 제도 도입을 목표로 현재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연구중”이라고 밝혔다.
산업 석박사 제도는 기업 연구원이 대학에서 관련 교과를 이수하고 회사로 돌아와 R&D프로젝트를 수행해 성공할 경우 이 성과를 인정한 대학이 학위를 수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과기자문회의는 대학에서 교과 이수와 기업 R&D 종사활동 기간을 석사의 경우 ‘1+1년’, 박사의 경우 ‘2+2년’제를 기본으로 운용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 대학이 교수 임용시 현장경력 우대 차원에서 산업 석박사를 우대하는 방안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공대는 필수 조건으로 넣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 석박사 제도가 올해 안에 도입되면 당장 내년부터 공과대학 교수 임용제도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교수 산업현장 근무 장려 △산업체 대우 교수제도 활용 △산·학·연·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분야별 포럼 운영 지원 등을 추진중이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손재권기자 gjack@etnews.co.kr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