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 산업인 디지털방송 서비스 도입에 가속도가 붙었다. 그동안 방송법 개정을 둘러싸고 일부 이견을 보여왔던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디지털방송을 국가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자는 데 최대 정책목표를 두고, 신규 서비스 조기 도입에 적극 나서기로 의견을 모았기 때문이다.
부처간 업무조정 갈등을 넘어 디지털방송이 범정부 차원에서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부각된 신호이며, 지난 총선 이후 최우선 과제인 ‘경제살리기’ 정책기조와도 맥을 같이한다.
◇역할 분담과 긴밀한 사전논의 합의=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는 최근 제4차 방송통신정책협의회를 갖고 이동(지상파/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서비스를 조기에 시행하도록 방송법 시행령 개정 등 각종 현안을 해결하는 데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방송위는 방송법시행령 개정작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지상파/위성 DMB 사업자 허가지침 및 관련 정책사항을 조속히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 정통부는 지상파/위성 DMB 관련 제반 기술사항을 면밀히 검토해 신규 방송서비스 도입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두 기관은 지역간 균형발전 및 보편적 서비스를 위해 지역 지상파DMB 서비스를 이른 시일에 도입해야 한다고 합의하고, 주파수 조정과 아울러 방송사 협조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정통부가 주관하는 ‘지역지상파 DMB 채널배치반’에 방송위도 참여해 관련 제도적·사업적 현안을 함께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 양 기관은 방송·통신 융합환경이 점차 보편화함에 따라 각종 신규 디지털방송 서비스에 대한 공동 연구작업이 절실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케이블TV 디지털전환의 기반인 ‘디지털미디어센터(DMC)’ 연구전담반을 구성키로 했다.
◇방송 디지털화 가속도 붙나=뉴미디어 정책을 주관하는 양 기관이 디지털방송 산업육성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고 힘을 모으기로 함에 따라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지상파·케이블·DMB 등 3대 디지털방송 서비스 도입이 급류를 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표적인 방송·통신 융합서비스로 각광받는 지상파/위성 DMB는 방송법 시행령 개정작업이 조기 마무리되면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됐다. 지상파 DMB의 경우 지상파 방송의 이동수신과 신규 매체 진입장벽 해소라는 정책취지에 맞게 채널 12번에 이어 8번을 추가 분배, 연내 방송국 허가와 더불어 서울지역 100대 버스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위성DMB는 최근 정통부의 주파수 할당공고에 이어 상반기중 사업자 선정과 데이터방송 표준이 마무리될 경우 이르면 오는 7월께 세계 최초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블TV 디지털 전환작업도 큐릭스·BSI·C&M커뮤니케이션에 이어, CJ케이블넷·태광산업 등 주요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는 하반기내 모두 DMC 구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케이블TV의 플랫폼인 DMC를 기반으로 올 하반기부터 SO 사업자들의 디지털 전환작업이 대세로 굳어질 전망이다. 최대 현안이었던 지상파 디지털TV도 최대 지상파 방송사인 KBS가 유럽식 이동수신 기술인 DVB-H가 국내 실정에 부적합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예상보다 빨리 전송방식 논란이 종식될 가능성이 커졌다.
정통부와 방송위 관계자는 “다음달 한 차례 더 정책협의를 갖고, 연말께 3대 방송매체의 디지털·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