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북아 연구개발(R&D) 허브국가로 우뚝 서기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존 마버거 미국 대통령 과학고문 겸 백악관과학기술정책실장, 루용샹 중국과학원장 등 장관급 관계자들의 내한이 잇따르고 있고 유럽연합(EU)·일본 등과의 협력 움직임도 구체화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이에따라 △동북아 R&D 허브로의 도약 △선진국 협력관계 업그레이드 △개발도상국 지원을 통한 국제위상 강화 등 전방위 국제협력전략을 추진키로 하고 올해에만 115억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동북아 R&D 허브로의 도약=과기부 산하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개발사업단(단장 이강인)은 28일 일본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와 함께 일본 이바라키현 츠쿠바시에 연구실을 설치키로 했다. 한·일 정부는 이미 APEC 기후센터의 한국유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의 일본유치 등 굵직한 국제 과학기술프로그램에서 윈윈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중 과학기술협력도 원자력 수소생산시스템 공동 연구작업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한·중간 원자력 협력관계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원전 20기, 40조원대 시장이 창출될 중국시장진출의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이 같은 동북아 협력관계는 한·중·일 과학기술장관회담의 정례화를 통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중·일은 이미 (가칭)동북아 과학기술협의체를 운용키로 하고 3국간 R&D 협력, 인력 교류, 대형 연구시설 공동이용에 합의한 바 있다.
◇선진 협력 업그레이드=존 마버거의 전격 방한을 통해 한·미 과학기술협력이 분야와 요소별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이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나노기술(NT), 정보기술(IT), 의료바이오기술(Medicine BT) 등에서 포괄적 협력프로그램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부는 또 최근 유럽연합이 제안해 온 과학기술협력협정을 검토해 초안을 마련하고 핀란드 통상산업부 실무자 일행(국장급)과 과학기술협력방안을 협의하는 등 선진국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개도국 지원 강화=외교통상부의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계획에 맞춰 개도국에 대한 기술공여사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관리, 기상예보 등 수혜국에서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분야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이미 동남아 국가에 대한 원전 기술지원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태국을 비롯한 12개 APEC 회원국의 정책담당자들을 서울로 초청해 R&D 관리훈련프로그램을 전수하고 있다.
과기부 김상선 과기협력국장은 “국제적인 과학기술 협력 프로그램의 멤버로 참여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존 마버거 박사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과학기술협력을 한단계 진보시킬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등 국제협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손재권기자 gjac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