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PMO 아웃소싱 붐

프로젝트 투명성 높이고 비용 절감

대규모 정보화사업에 대한 감리 및 점검 기능(PMO)을 제 3 기관에 맡기는 추세가 금융권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대규모 정보시스템을 구축할때 프로젝트가 당초 계획대로 어긋남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점검· 감리하는 기능 및 이를 담당하는 조직. 지난해부터 일부 금융기관이 PMO를 아웃소싱해 프로젝트의 투명성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 절감 효과를 얻는 사례가 알려 지면서 전 금융기관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외환은행과 신용보증기금이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정보화프로젝트의 PMO를 외국계 컨설팅업체인 베어링포인트에 맡겼다.

 대한생명은 지난 달 향후 2년간 진행되는 금융선진화 프로젝트에서 제안요청서(RFP) 발송과 프로젝트 관리 등을 담당할 PMO를 IT컨설팅업체인 오픈타이드코리아에 맡기기로 결정했다.

교보생명도 조만간 자사 차세대시스템 구축에 관한 PMO를 외부에 별도 의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이 이미 동시다발로 진행되는 정보화 프로젝트의 PMO를 한국IBM BCS에 위탁했다.

 이밖에 지난 해에도 삼성카드(구 PwCC), 하나생명보험(액센추어), 매트라이프(액센추어) 등이 PMO를 외부 컨설팅 업체에 의뢰했다.

이같은 현상은 발주기관은 물론 시스템 구축사업자와도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는 외부기관에 프로젝트 관리를 위탁해야만 객관적이고 엄정하게 PMO 역할을 수행, 완성도와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금융권의 경우 최근 들어 여러 시스템을 동시 다발로 추진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PMO를 별도로 운영하는데 따른 비용과 관리 부담이 적지 않은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최근에는 SK텔레콤이 차세대마케팅인프라(NGM) 구축과 관련해 PMO를 외국계 컨설팅업체에 맡겨 금융권의 PMO 외부위탁 추세가 일반 기업으로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다만 공공기관의 경우 아직도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정보통신부의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PMO를 외부에 두는 것은 조직문화나 보안 등의 문제가 있어 아직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픈타이드코리아 이종수 경영기획실장은 “아직도 많은 기업 및 기관에서는 별도의 PMO를 두지 않거나 내부인력으로 소화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프로젝트관리는 객관성이 생명이므로 비금융권에서도 PMO 운영시 외부위탁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