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방송위·언론노조 `제각각`

정보통신부·방송위원회·언론노조가 공동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7일까지 유럽 휴대이동방송수신 기술인 DVB-H를 현지조사한 결과물이 제각각 달라 국내 이동방송수신 기술규격 논란이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12일 관계당국 및 업계에 따르면 DVB-H에 대해 △정통부는 ‘도입에 부정적’ △방송위는 ‘면밀한 검토 필요’ △언론노조는 ‘DVB-H가 DMB보다 적합’ 쪽으로 각각 입장을 정리했다.

 이로써 세 기관이 함께 해결해야 할 이동수신을 포함한 지상파 디지털TV(DTV) 전송방식 논란이 더욱 혼미해질 전망이다. 특히 고정수신에 이어 이동수신 기술규격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DVB-H 논란까지 가세, 지상파TV의 디지털 전환이 하반기에도 불투명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방송위는 이날 DVB-H와 DMB는 각각 장단점이 있어 전체 시장측면에서 도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현지조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반면 본지가 입수한 정통부의 현지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정통부는 DVB-H가 통신기반의 유료방송서비스여서 완벽한 실내외 수신을 위해 송신기 외에 수십개의 중계기 추가 설치가 필요하고 투자가 과다한 데다 UHF대역을 사용, 국내 실정에 맞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정통부는 막대한 투자비에 대비해 광고수익만의 무료서비스로 운용할 수 있을지는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보고서를 통해 지상파DMB는 데이터방송 가능 여부가 불투명하나 DVB―H는 DMB보다 2.5배 이상 채널용량이 크며 데이터방송 또한 IP 기반이어서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통부 한 관계자는 “다른 기준으로 DMB와 DVB―H의 가용 채널수를 산정하고 DVB-H가 주파수를 나눠 송출할 수 있다는 방송위 보고서는 기술적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작성됐다고 본다”며 “DVB-H 도입을 위한 세 기관간 협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병수기자 bjor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