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게임업계 최대시장인 중국 수출전략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지난달 28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과잉 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내비치고 통화량, 은행대출, 고정자산 투자 축소 등을 시사함에 따라 현지 기업들이 한국기업에 대한 직접투자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여서 정부정책 기업경영에 적용되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게임업계에 미치는 여파는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중요한 것은 계약금(initial fee)=국내 게임업체가 중국과 공급계약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계약금이다. 현재까지 최고액은 계약금 200만달러 수준. 온라인게임의 지속적인 공급과 일종의 로열티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수출되는 게임의 가치는 보통 계약금으로 평가된다. 물론 매출·이익 대비 환수금(running fee)으로 나누어 평가되기도 한다. 하지만 러닝피의 경우 매출로 잡느냐, 이익으로 잡느냐의 차이일 뿐 그 비율에서는 1∼2% 외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국내 게임업체로서도 게임의 지속적 공급을 담보하는 차원에서 계약금을 중시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중국정부가 수입 게임에 대한 계약금 지불도 투자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의 게임업체가 정부에 계약금을 투자로 분류해 달라고 압력을 넣는 형국이다. 한국 게임업체와의 협상에서 내놓을 수 있는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계약금을 가급적 덜 주고 싶은 중국 기업들로서는 ‘목마르던 차에 우물을 찾은 격’이다. ‘더 주고 싶어도 정부 규제에 걸려 어쩔 수 없다’는 방어막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기업에 대한 투자도 걸림돌=중국 기업들이 온라인게임의 안정적 공급과 기술이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한국 게임업체에 대한 투자도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중국기업으로서는 한국에 대한 투자가 신규투자일 수밖에 없다. 중국 정부가 규제하겠다고 나선 투자에 제대로 걸린다. 특히 원자바오 총리의 투자축소 발언은 중국 게임업체들의 한국 진출이 가시화되는 시점에 발표된 것으로 더욱 충격을 준다.
시장은 중국 등 해외에 두고 연구개발 스튜디오는 국내에 두어야 게임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정부나 업계 모두 개발의 원천자금으로서 기대를 걸고 있는 중국의 투자가 규제에 발목을 잡힌다면 국내 게임업계로서는 당혹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대응방안=국내 게임업계로서는 아직 중국정부와 맞설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본격적인 투자규제 이전에 중국기업과 시장진출에 대한 일을 마무리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중국 기업으로서도 본격적인 투자규제 이전에 서비스할 게임을 찾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중국 소식통은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실기해서는 안된다”며 “양국 당사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시점을 골라 적기에 수출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또 “원자바오 총리 발언 이전부터 중국정부가 한국 온라인게임에 대한 규제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시장이 아닌 파트너로서 양국 협력모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우기자 kw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