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휴대폰 및 전지업계가 모조 배터리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최근 C넷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이통사업자인 버라이존 와이어리스는 LG브랜드의 휴대폰 배터리 5만개에 대해 리콜을 결정했다. 또한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LG의 ‘TM 510’ 배터리에 초과충전을 제어하는 회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배터리 충전시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LG전자 측은 “버라이존이 리콜하기로 한 배터리는 LG전자가 생산한 제품이 아닌 모조품”이라며 “현재 모조품의 출처를 추적중이며, 미국 수입업자에 대해 법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LG 측은 이미 지난 4월초 버라이존 요청에 따라 정품 배터리 5만대를 추가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비품 배터리 문제가 불거지자 LG·삼성 등 국내 업체들은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비품 배터리 안전 사고에 따른 기업 이미지 손상을 우려해 소비자들이 비품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지만 원가 부담이 만만치 않아 아직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방법은 휴대폰 본체와 배터리에 칩을 각각 내장, 이들 칩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정품과 비품의 휴대폰 배터리를 구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2차 전지 업체 한 관계자는 “칩을 내장하고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별도의 회로를 설계하면 생산 원가가 올라가고 휴대폰 크기가 커지는 단점도 있어 현재 개발단계 내지는 검토수준일 뿐 실제 이를 생산 라인에 적용하는 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또 다른 2차 전지 업체의 관계자는 “칩을 내장한 휴대폰 본체와 배터리를 선보여도 복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삼성전자 한 관계자는 “제조 업체 입장에서 비품 배터리의 유통을 막을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사실상 없다”며 “소비자들이 대리점·AS 센터에서 정품을 구입해야만 비품 배터리 사고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안수민·권건호기자@전자신문, smahn·wing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