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치료제 개발 총망라하는 통합센터 구성 요구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이 최근 산자부에 제출한 ‘유전자치료제 산업기술로드맵 최종보고서’를 통해 유전자치료제 개발과 제품 생산, 인허가를 유기화·체계화하는 정책지원을 요청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핵심 내용은 분자생물학·약학·생물공학·인허가·기초의학·임상의학 등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총 망라하는 통합센터 구성이 절실하다는 쪽으로 모아진다.

 이 보고서는 김주항 연세대 의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김병문 동아제약 연구위원, 김선영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 등 산·학·연 전문가 19인이 참여해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작성했다.

 유전자치료란 약 대신 유전자 물질을 인체 안으로 주입하는 최첨단 생명공학 질병 치료방법이다.

 조합은 보고서에서 유전자치료는 미래 의학의 핵심기술로서 기술 선진국들은 다국적 초대형 생명공학 관련업체를 중심으로 산업화 기반을 이미 구축해나가고 있으나 국내 관련 기술개발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조합은 이같은 인식아래 정부에 국제 경쟁력을 갖는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연구진 간 공동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마련을 요구했다. 또 유전자 치료제 개발 부분 중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벡터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생산과 임상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채옥 연세대 의대 교수는 “유전자 치료제가 아직 표준의약품으로 지정되지 못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기에 투여하지 못하고 있다”며 “암 환자의 경우 방사선치료법과 유전자치료를 병행하는 식으로 유전자치료 도입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유전자 치료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시설이 미흡해 임상시험용 치료제 생산을 거의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며 “관련 인프라 구축도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여재천 신약개발연구조합 사무국장은 “첨단 생명공학 의약품인 유전자 치료제 관련 인허가 관청의 직원을 전문화하고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인순기자@전자신문, in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