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인터넷 MVNO, 누가 참여할까?

 정부가 2.3㎓ 휴대인터넷(와이브로) 사업자 선정시 가상이동통신사업자(MVNO)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내놓았으나 실제적으로 그 대상이 될 후발 기간통신사업자들의 참여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신 케이블TV업체나 통신장비업체 등은 신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할 가능성은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으나 시장 규모가 작아 정작 실현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MVNO가 유효경쟁체제 도입을 위해서라면 휴대인터넷 시장에서는 ‘딱 맞는 옷은 아니다’는 분석이다.

 ◇후발사업자들 ‘그림의 떡’=온세통신, 드림라인, 두루넷, 엔터프라이즈네트웍스 등 후발 기간통신사업자들은 MVNO를 통해 휴대인터넷시장에 진입하기는 ‘그림의 떡’이라는 입장이다. 무선통신시장 진출은 유선 사업자로서의 숙원이긴 하지만 법정관리, 매각 등 구조조정의 대상에 오른 상태에서 신규 사업을 벌이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

 법정관리중인 온세통신과 두루넷 측은 “신규사업의 경우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참여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세아그룹에 인수된 드림라인은 “MVNO를 통한 참여를 검토중이긴 하나, 시장이 한정돼 있어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밝혔다.

 3개 사업자에 MVNO까지 도입하면 과당경쟁에다 수익성이 불투명한데 막대한 마케팅 비용까지 들여가며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질 필요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비 통신업계들 ‘한번 보자’=MVNO제도가 도입되면 통신시장에 진출할 것을 검토해왔던 시스템장비업체와 케이블TV업계에는 손익 계산에 분주하다. 실제로 일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은 기간통신사업자로서의 지위를 가지면서 ‘유무선 통합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에 대응할 수 있는 호기가 될 것으로 본다. 특히 케이블TV업계는 MVNO가 실질적인 통신서비스보다는 가입자를 확보하는 유통채널로 보고 있기 때문에 통신사업자들과의 역할 분담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 통신장비업체인 삼성전자 역시 휴대인터넷이 주력하고 있는 홈네트워크와 텔레매틱스사업과 결합해 향후 높은 성장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관련 사업성 분석 등을 검토중이다.

 ◇전문가들, ‘정책의도 명확히 해야’=문제는 정부가 휴대인터넷 분야에 MVNO를 도입하려는 목적이 어디에 있느냐다. 이번 기회로 비 통신업계의 통신시장 진출을 유도하려는 것인지, 선·후발업체들 간 유효경쟁을 촉발시키기 위한 것인지 의도가 명확지 않는다는 것.

 전문가들은 두가지 경우 모두에서도 휴대인터넷 시장에 도입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이다. 한 전문가는 “가입자가 3500만명에 달하는 이동통신시장에서 MVNO가 사업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왔는데 최대 가입자가 930만명으로 밖에 예상되지 않는 휴대인터넷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한다고 해서 참여 사업자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향후 경쟁활성화를 염려해 MVNO를 도입하려 한다면 사전적인 규제보다는 사후적인 조치로 문호를 열어놓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손재권기자@전자신문, gj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