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연합 "독자 서비스 추진"

BcN 시범사업 3개 컨소시엄 선정서 탈락

정보통신부는 광대역통합망(BcN) 1단계 시범사업 주관사업자로 SK텔레콤-하나로텔레콤, KT, 데이콤 3개 컨소시엄을 선정, 내년 말까지 90억원의 예산을 들여 시범망을 구축하고 서비스 모델을 개발한다고 31일 발표했다.

 그러나 시범사업자 선정에서 탈락한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이 여타 컨소시엄에 분산 참여하라는 정부 권유에 반발, 독자 기술 개발 및 상용서비스 추진을 선언해 정부와 갈등이 불가피해 졌다.

 SO 70개사의 컨소시엄인 케이블BcN은 이날 ‘BcN 시범사업자’ 선정에서 탈락했지만 조기 상용화 및 산업표준화를 위해 케이블망(HFC) 기반의 BcN을 독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케이블BcN은 “정부가 통신사업자 일색으로 시범사업자를 정함으로써 HFC 활용에 대한 기대를 저버렸다”면서 “통신사업자가 주관사업자로 활동할 경우 방송 콘텐츠가 통신서비스의 번들 상품화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케이블BcN은 94개 SO가 공동설립한 디지털케이블연구원(KLabs)을 통해 HFC기반 서비스 모델에 대한 산업 표준화(안)를 마련하고,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산하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주관 하에 공동으로 테스트베드를 운영할 계획이다. 미국의 NGNA(Next Generation Network Architecture) 모델에 대한 국내 적용도 적극 모색할 예정이다.

 또 주요 서비스를 통신사업자에 앞서 우선 상용화해 기선을 제압하는 한편, 정책적인 지원도 유도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정통부 강중협 정보기반보호 심의관은 “HFC는 훌륭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통·방 융합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SO들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주관사업자들은 이달 중 전달망, 가입자망 분야를 담당할 통신·방송사업자, 장비·솔루션업체 등으로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해 최종 사업계획서를 담당기관인 한국전산원에 제출하며 컨소시엄별로 100억∼150억원의 자체 투자비를 투입키로 했다.

 컨소시엄들은 올해 말까지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장비·솔루션에 대한 시험 검증을 마치고 내년부터 시범망을 구축해 첨단 연구개발망과 연동할 예정이다. 또 인터넷전화(VoIP), 고품질 영상전화, IPTV, HD급 주문형비디오(VOD) 등 BcN 기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융합형 서비스를 개발, 내년 말께 수도권과 광역시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할 계획이다.

 정지연·유병수기자@전자신문, jyjung·bj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