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원자력연구소에서 가동중인 연구로 `하나로`노심.
우라늄과 섞여 있는 극미량의 플루토늄을 추출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후행 핵연료주기 연구과정(방사성폐기물 처리)이 정부의 출연연 기능이전 대상에 올라 주무기관 이관을 통한 단기 상업화 방안이 추진중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과학기술계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따르면 정부는 과학기술부의 방사성폐기물 분야 연구과제의 핵심인 고준위폐기물 처분 기술 연구를 산업자원부 산하 전력연구원으로 이관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과학기술계는 물론 원자력계의 뜻있는 인사들은 국내 원자력 연구 수준을 후퇴시킬 수 있다는 의견을 내세워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논란 왜 중요한가=후행 핵연료주기 연구는 원자력연구소가 20∼30년 후를 내다본 장기 원자력 원천기술로 연구를 진행해온 사용후 핵연료 재활용 기술로 저준위폐기물 및 차세대 원자로인 고속로의 핵연료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사용후 핵연료 처리는 연료봉 집합체의 해체 및 절단과 용해, 분리·정제 과정을 거쳐 고순도 우라늄과 고순도 플루토늄 등을 분리한다. 그러나 원자력연은 향후 용해 대신 전해환원과 고온 용융염 전해 정련으로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 약 60배에 달하는 우라늄의 재활용성을 높일 계획으로 중장기 연구를 추진중이다.
이번에 논란을 일으켰던 플루토늄 추출은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기술 연구인 파이로프로세싱에 포함돼 있다.
◇과제이관 논점 원가=산업자원부 및 전력연구원 측은 핵연료의 상업화를 내세워 원자력연구개발기금의 50%를 전력기반기금에 출연을 요구하며 방사성폐기물 사업 등을 포함한 28개 과제(사업비 800억원)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 측은 고준위 폐기물 처분 기술이 핵연료를 사용한 뒤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로 재처리 과정을 거쳐 원전 연료로 재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민간보다는 정부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도 사용후 핵연료처리는 미래형 원자로의 핵연료 주기개발연구의 핵심이기 때문에 미래 원자로 개발작업과 서로 연계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국민정서 고려해야=이번 원자력연구소의 플루토늄 추출에 대해 핵폭탄의 원료로 가공한다면 문제가 있겠지만 단순히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데는 자부심을 느낀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출연연의 한 관계자는 “우리 나라 원자력 관련 기술이 세계적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긴가민가했던 것이 현실이었다”며 “원자력 기술은 평화적으로 이용하기에 따라 사용목적이 달라지는 만큼 정부에서도 국민 정서를 감안한 냉정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부에서 후행핵연료 주기 연구를 민간으로 이양하자는 말도 나오고 있다”며 “민간으로 넘어가 단기 상업화할 경우 고준위 폐기물 연구는 물론 차세대 원자로 연구도 퇴보할 것으로 보는 것이 과학기술계의 중론”이라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