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금융 융합서비스인 모바일뱅킹서비스를 놓고 이통사와 금융권이 줄다리기를 벌인 끝에 칩 발급 주체가 은행으로 결정되면서 은행으로 주도권이 넘어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모바일뱅킹 시장 경쟁은 브랜드 경쟁, 유통망 확보경쟁으로 전환되는 추세다.
이통사중 선점효과를 만끽하는 것은 LG텔레콤. LG텔레콤은 뱅크온 출시후 9월말까지 124만 명의 고객을 유치하며 선전하고 있다. LGT는 모바일뱅킹의 상식은 뱅크온이라는 브랜드 이미지 전략과 함께 다양한 판매기법 개발이라는 영업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저렴한 요금제와 함께 `뱅크온 선택은 소비자의 경제상식`이라는 인식을 각인시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모바일 뱅킹을 상징하는 M뱅크 브랜드와 금융서비스 통합브랜드인 모네타를 내세우고 있다. 회사측은 금융권과의 주도권 경쟁으로 서비스 첫발을 떼는데 차질을 빚었으나 최근 최대 은행인 KB국민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 전략을 다지고 있다. M뱅크는 사업의 성격상 무선인터넷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이동전화 시장점유율을 그대로 따라가는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LGT의 뱅크온보다 서비스 출발은 늦었지만 가입자수에서 뱅크온을 이미 앞섰고, 모바일 뱅킹의 리더 브랜드 이미지도 강화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KTF는 KTF+뱅킹이라는 의미로 K뱅크 브랜드를 강조하고 있다. 기존 전자상거래 브랜드인 K머스를 연상시키면서 동시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모바일 뱅크` 이미지 메이킹이 전략의 핵심이다. 제휴 은행에 따라 K뱅크 국민, K뱅크 한미 등으로 구성할 생각이다. 또 앞선 생활방식을 사는 사람들이라는 이미지를 웰빌, 보보스를 차용한 코보스(kobos)를 통해 K뱅크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이 목표다.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서비스의 주도권은 은행에 빼았겼지만 네트워크의 기술 진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추가로 창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통사들은 은행별로 칩을 바꿔야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불합리함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칩에 복수금융서비스를 탑재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을 마련하고 이를 금융권과 협의할 방침이다. 또한 향후 단일 칩에 복수금융서비스를 탑재할 수 있도록 기술을 마련하고 금융권과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특정사업자간의 경쟁이 아닌 멀티 통신사와 멀티뱅크 제휴로 시장이 전개될 것으로 파악하고 금융정보서비스 등 추가 부가가치 창출 방안을 찾아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기존 이동통신시장의 유통망에서 SKT, KTF에 뒤진 LGT는 유통망 확보수단으로 모바일 뱅킹을 활용해 눈길을 끈다. LGT는 13개 은행과 3600개 제휴점을 구축해 은행의 가판을 가상대리점화하는데 성공, 하루 평균 6000명 이상의 가입자를 꾸준히 모으고 있다. 회사측은 유통구조를 도매중심에서 소매중심으로 바꾸는 상권경영 개념의 성공적인 도입사례라고 강조했다. KTF도 농협 400개 매장, 신한 200 곳, 기업은행 200곳 등 총 800곳의 은행영업점을 운영하고 있다. SK텔레콤도 최근 KB국민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600곳의 현장 영업점을 마련, 농협 680곳, 한미은행 140곳 등의 영업점을 대리점이 운영토록하고 있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