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캐피털들의 벤처조합 결성을 촉진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밝히고 있으나 현행대로 조합당 현행 30∼40% 규모의 정부 투자지원 비율을 고수할 경우 정책성과가 결실을 맺는데 한계에 부딪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민간이 조합의 주체인 벤처캐피털에 대한 투자를 기피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투자지원비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게 캐피털들의 주장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행 규정상 벤처캐피털업체들은 정부의 투자에 매칭할 수 있는 자금을 민간, 또는 기관에서 확보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자자들이 벤처조합 투자에 소극적이어서 펀드 결성이 더욱 어려워지고만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같은 추세는 특히 오는 12월6일부터 민간의 새로운 투자처인 사모투자펀드(PEF) 시장이 열리면서,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투자기피의 원인은= 정부의 투자에 매칭할 수 있는 민간(기관)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힘들다는 우려다. 현재 정부는 일부 특수목적펀드를 제외하고는 조합당 최고 40%를 투자하고 있다. 이에따라 조합의 운영사인 벤처캐피털업체가 자체 투자분 5∼10%를 제외한 나머지를 민간(기관)에서 유치해야 하지만 △벤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PEF 도입 등으로 유치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매년 1000억원 내외를 투자하며 조합 결성에 주요 자금원 역할을 담당했던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벤처조합 투자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내년 투자계획이 잡히지는 않았지만 사모펀드 시장이 새로 열린 만큼 벤처투자 규모는 켤코 커질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정부의 조합당 투자지원 비율확대 절실”= 벤처캐피털업계는 정부가 벤처펀드에 대한 조합당 투자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특히 나노·바이오 등 향후 가능성은 크지만 민간(기관)의 관심이 낮은 분야는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강조한다.
벤처캐피탈협회 김형수 부장은 “민간과 기관에서 벤처산업을 보는 시각이 여전히 부정적”이라며 “정부가 벤처 지원에 나서겠다고 선언한 이상 이러한 여건을 감안해 조합당 투자규모를 늘려야 한다”고 요청했다.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아= 정부가 벤처캐피털 투자비율을 무조건 높이는 것이 오히려 부실 벤처캐피털을 양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산업연구원의 조영삼 연구위원은 “조합이 힘들다고 즉각적으로 지원을 늘리는 것보다는 벤처캐피털업체들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적극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다.
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