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의 차이나 드림이 흔들리고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중국에서 난무하고 있는 불법서버 때문에 국내업체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데 따른 안타까움의 표시일 것이다.
중국이란 나라가 어떤 나라인가. 13억의 인구에다 매년 7%대 이상의 경제 성장으로 경외의 대상이 되고 있는 아시아 중심국가다. 이젠 중국을 빼고 아시아 경제를 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국내업체들이 주력으로 하고 있는 온라인게임시장은 해마다 급성장하고 있다.
그같은 수출 보고를 두고 업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유명 게임업체들의 작품들이 불법서버로 인해 잇달아 흥행에 실패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중국정부 조차도 나 몰라식으로 뒷짐만 쥐고 있다니 국내업체들로선 발을 동동 구를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지적재산권 문제는 늘 종속 변수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쉽게 말해 자국의 시장보호차원에서 이용되고 달러 유출을 막기위한 방패로도 활용된다는 것이다.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서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버틴 부문이 저작권 분야였다. 그런 전략은 중국뿐 아니라 패전이후 저작권정비를 서두르지 않은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그같은 그들의 전략을 어떻게 와해시키고 재 입성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수립이다.
이 문제는 민간차원에서 헤쳐 나가기는 실로 버거운 일이다. 재산권 문제가 사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뒤따라주지 않으면 쉽게 풀 수 없는 과제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민관 차원의 대책반을 가동해 실태점검에 나서야 한다.
또 한가지는 보안의식을 새롭게 제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저작권 문제는 정부차원에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스템 보안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함께 현지 법원을 통해 끊임없는 저작권 투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한때 불법 저작물의 천국이었던 대만이 선진수준으로 싹 바뀐데는 정부의 의지도 그 것이었지만 저작권자들의 지속적인 법정 투쟁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업계 공동의 대응이 불가피하다. 게임산업협회를 활용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중국 시장 개척이 녹록치 않게 전개되고 있다.한쪽에선 심의의 칼날을 갈아 세우고 다른 한편에선 불법 서버 등 저작권 침해사례가 잇다르고 있는 것은 악재다.
이럴때 일수록 국내업체들이 의기투합해 힘을 모아야 한다. 개별적인 투쟁은 지양해야 한다. 그 까닭은 중국시장을 뛰어넘지 않으면 세계시장을 결코 넘볼 수 없기 때문이다.
<편집국장 inm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