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가 추진중인 ‘TV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이 내년부터 도입된다.
‘TV 공공서비스’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관공서 등이 제공하는 각종 공공서비스를 TV를 통해 송출하는 것으로 케이블망(HFC)을 활용할 방침이다. 따라서 KT와 SK텔레콤 등 통신사업자 중심으로 추진돼 온 ‘디지털홈 시범사업’과 대칭되는 방송사업자의 시범사업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28일 방송위원회에 따르면 문광위 상임위는 TV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에 2개 사업자를 선정해 추진하기로 하고 사업자별로 8억6800만원, 결과 평가 및 제도개선을 위한 세미나 개최 등에 7000만원을 지원키로 하는 등 18억600만원 증액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공공서비스 시행관청이 콘텐츠 서버 구축, 공공서비스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맡고 케이블망을 가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헤드엔드 장비 및 보안인프라 구축 등을 맡아 추진하게 된다. 시범사업을 통해 응급구조 요청, 민원서류 발급, 세금·공과금 납부, 보건소 진료 예약 등 공공서비스를 디지털 양방향 케이블TV 셋톱박스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SO는 자체 헤드엔드 시스템 내 디지털 양방향 방송시스템을 구축, 관공서에서 공급받은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SO 입장에선 통신사업자의 디지털홈 시범사업과 대등한 시범사업을 실시할 수 있어 향후 홈네트워크 경쟁에서 유리한 카드를 얻을 수 있다.
방송위 관계자는 “시범사업을 통해 케이블방송사업자들이 통신사업자들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며 “특히 공공서비스는 (이윤을 추구하는) SO들이 나서서 하기 힘든 만큼 정부가 나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