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디스플레이 분야, 전문 정책팀 운영 필요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디스플레이 주요 부품·소재 국산화율 현황

한·일·대만 등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한국이 시장 주도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정책 연구를 위한 전문 정책팀 운영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또 디스플레이 산업의 정부 정책입안 및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산업자원부 생활산업국 반도체전기과를 반도체·디스플레이·에너지 등 3개과로 분리해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국공학한림원(회장 윤종용)은 황기웅 서울대 교수, 장진 경희대 교수, 석준형 삼성전자 연구소장, 문대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등 국내 디스플레이 최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은 보고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빛과 그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국내 디스플레이 빛과 그늘=이들은 이 보고서를 통해 TFT LCD분야의 경우 지난 95년 국내 업체가 양산 이후 연평균 23% 이상 성장하면서 국가 수출 주력 산업으로 급성장했으며, LCD 경우 2001년 이후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FPD 산업은 연관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모듈·장비·부품소재·응용업체 등 전문 생산업체가 200개 이상에 이르며, 휴대폰·컴퓨터·디지털가전 등 세계적 수준의 전방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양산 기술력은 선진국과 대등하지만 원천기술력은 여전히 60∼80% 수준에 불과하며, 전문인력 부족도 향후 사업을 전개하는 데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LCD·PDP·OLED 등의 투자 추이를 감안할 때 연 2000여명의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만 현재 공급은 이에 못 미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PDP·OLED 등 신기술 부문의 부품소재 국산화도 극히 취약한 것으로 지적했으며, LCD도 원재료 부분의 국산화율이 18%에 그치는 등 부품·소재 국산화율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R&D 지원은 원재료 개발 방향으로=이들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1위 유지를 위해서 △산·학·연 연계 기술 개발력 향상 △전문화된 정부 조직 구성 △원재료 개발에 대한 국가의 R&D 지원 집중 △경쟁국 수준의 지원 등을 제언했다. 보고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국책과제를 살펴보면 강점을 갖고 있는 디바이스 관련 과제가 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원재료 부분의 기술 개발이 취약하다”며 “일본의 경우 백라이트, 탄소나노튜브 등 CNT 재료관련 과제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수행해 대조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은 단일 프로젝트에 연 30억엔을 지원하는 반면 국내 산자부·과기부·정통부 등 부처별 별도 개발사업이 총 300억원에 그치고 있는 등 경쟁국에 비해서 지원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대만과 비교해도 원재료 수입관세 면제, 연 2% 저리 대출융자, 첨단산업에 대한 5년간 법인세·부가세 면제, 신제품 개발비의 50% 지원 등 파격적 지원책에도 크게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제일모직 돈윤승 박사는 “디스플레이 산업이 반도체에 이은 먹거리 산업으로 부상한 만큼 체계적인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특허 거시적인 관점에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전문 정책팀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형준기자@전자신문, hj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