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와 정부·지원기관 간 ‘벤처 살리기 묘방’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벤처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벤처 재도약 최대 과제로 벤처자본 공급 확대를 꼽은 반면 정부 및 벤처캐피털 등 벤처지원기관 관계자들은 코스닥 시장 회생과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관행 타파를 꼽았다.
이는 벤처기업협회(회장 장흥순)가 이달 2일부터 7일까지 벤처 CEO 577명과 벤처산업 관계자 267명 등 총 8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벤처 생태계 현황 조사’ 보고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벤처 CEO들이 벤처 생태계 조성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은 것은 벤처자본의 공급부족(3.9점, 이하 5.0점 만점 기준)이었다.
그러나 벤처캐피털 등 벤처지원기관 종사자들은 코스닥 시장의 장기 침체와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관행(각각 4.0점)을 들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벤처캐피털 등 벤처기관들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한 반면 벤처업계 CEO들은 단기적으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벤처기업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대기업과의 거래에서 발생했던 불공정 거래 관행 경험에 대해서는 무리한 납품단가 요구가 52.1%로 가장 많았으며 △대기업의 일방적 어음결제 관행(39.4%) △납품기일의 일방적 단축(32.1%) 순으로 대답했다.
벤처기업에 대한 신뢰도(정직·능력·배려)를 묻는 항목에 벤처 CEO들은 3.04∼3.15점을 줘 벤처지원기관 관계자(2.74∼2.96점)보다 높았다.
벤처캐피털에 대한 신뢰도는 벤처기업가와 벤처 관련 종사자 모두 2.75점 내외로 답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정책에 대한 신뢰도는 벤처 CEO의 경우 정책신뢰도(3.4점)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정책 일관성 및 전문성은 각각 2.8점이었다. 벤처 관계자들은 정책의 공헌 및 적절성이 각각 3.2점으로 높았으며 정책 일관성은 2.7점에 그쳤다.
코스닥이 벤처 생태계에 미친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벤처 CEO와 벤처산업 관계자 전체의 53.5%와 56.3%가 ‘벤처 직접금융 시장의 활성화’를 들었으며, △대기업 대비 벤처기업의 위상 강화(13.4%, 8.2%) △기업공개(IPO) 목표의 벤처창업 활성화(9.7%, 12.6%) 등을 주로 거론했다.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벤처 버블 조장(45.6%, 41.6%) △벤처 이미지 훼손(19.1%, 18.4%) △작전투기 활동무대 제공(16.3%, 15.1%) 순이었다.
이번 조사를 주도한 한정화 한양대 교수는 “정부가 벤처종합대책을 통해 벤처생태계 역동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정부는 이 분위기를 이어갈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해야 하며 벤처업계는 윤리·투명경영을 펼쳐 제2 벤처 붐 분위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벤처 생태계의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