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벤처활성화 차원에서 수익을 내지 못해도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의 코스닥 상장을 허용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지만 벤처지원기관들은 아직 명확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방침과 지원기관의 후속대응간의 공조 미비로 인해 우수기술벤처들을 지원할 근거가 될 관련 규정마련은 당초 예정된 1분기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증권선물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가 기술벤처기업의 상장심사를 위해 기존 4개 외부 평가기관에 생명기술(BT) 부문을 전담하는 평가기관을 추가 지정하기로 방침을 정했지만 여전히 상장 심사시 수익요건 면제에 해당되는 기술등급을 비롯한 구체적인 기준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코스닥본부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기술신용보증기금·한국과학기술정보원·한국산업기술평가원 등 지난 2001년 평가 용역계약을 체결한 기존 4개 기관을 외부 평가기관으로 유지하는 한편 신규 성장테마로 떠오른 BT 평가를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사실상 확정지었다.
코스닥본부는 이달 말 변동폭 확대 등을 포함한 시장 규정 개선안에 이를 포함시키고 생명공학연구원 측과도 공식 계약을 맺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동안 외부 평가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은데다 현행 10등급(AAA∼CCC 및 D)으로 분류된 기술평가결과를 상장심사에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마련되지 않아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지금까지 외부기술평가는 업력짧은 업체에게만 의무화돼 온 데다 평가자료도 상장심사시 단순 참고자료로 사용되면서 제도 도입 이후 4년간 평가실적이 22건에 불과했다. 그나마 지난 2003년 10월 이후로는 단 한 건도 없어서 기술환경 변화와 상장심사 규정 개정에 따른 평가 및 등급 산정 기준 수정이 절실한 상황이다.
코스닥 관계자는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벤처기업의 경우 수익 요건을 면제한다는 방침 아래 기술평가 부문을 보완하고 있다”면서도 “기술력만으로 업체의 추후 성장 여부를 판단키 어려워 아직 구체적인 평가안을 마련하진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올들어 코스닥 상장심사를 청구한 6개 업체들은 물론 심사 청구를 준비 중인 기업들도 당분간은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췄더라도 수익요건과 관련된 심사 혜택을 누리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코스닥 IPO 주간업무를 맡고 있는 A증권사 관계자는 “정부의 벤처정책 발표 이후 상장 추진기업들로부터 기술평가에 관한 문의가 늘고 있지만 이렇다할 기준이 없어 아직까지는 기존대로 수익성 요건에 초점을 맞춰 상장심사 청구서를 만드는 상황”이라며 “이른 시일내에 명확한 기준이 공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호준기자@전자신문, newlevel@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코스닥 외부 기술평가 실적(기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