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과잉과 소재 가격 상승으로 국내 2차전지 산업이 2중고를 겪고 있는 2차전지가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소재 국산화가 절실하다.
휴대폰과 노트북PC를 비롯한 모바일 기기 수요는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또 과거에 비해 LG화학이나 삼성SDI 등 국내 업체의 기술력이나 생산능력도 일본에 상당히 근접했지만 여전히 의구심을 버릴 수 없는 부분은 일본에 뒤지는 소재 기술이다.
차세대전지사업단 관계자는 “2차전지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소재 기술”이라며 “일본이 세계 2차전지 산업을 주도하는 원천도 소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이나 유럽 업체 역시 2차전지의 소재는 대부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양극활물질은 다나카화학연구소, 음극활물질은 오사카가스케미컬, 격리막은 아사히화성 등 일본 업체의 독무대다. 전해액도 미쓰비시화학이나 미쓰이화학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를 국산화하려는 업계의 노력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다. 전자부품연구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소재 국산화 수준을 초기, 부분 완료, 수입 대체, 완전 국산화의 4단계로 구분할 경우 원가 비중이 가장 높은 양극활물질은 1단계인 초기에 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양극활물질이 수입 대체 단계에 도달해야 국산 2차전지의 원천 기술력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며 “최소 3년간은 소재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극활물질은 2차전지 원가의 40%에 해당하기 때문에 양극활물질의 국산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국산 2차전지 경쟁력 확보는 사상누각에 지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다만 음극활물질과 격리막은 2단계인 부분 완료이며, 전해액은 3단계인 수입 대체까지 올라섰다. 특히 전해액은 제일모직이 세계 수준의 제품을 만들어 이미 국내 시장에서 일본 제품의 80% 이상을 대체했다. 격리막은 최근 SK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 제품을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주학 새한에너테크 마케팅본부장은 “2차 전지 소재 중 전해액은 국산 품질이 외국 제품을 능가하고 양극활물질의 경우 일본 제품과 대등한 수준으로 올라섰다”며 “제품 가격에 수입 부대비용까지 더하면 15% 정도 절감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한편 후공정 소재인 보호회로 분야에서도 파워로직스가 크기를 대폭 줄인 제품을 개발해 외산 대체 효과를 내고 있다. 또 장비 분야에서도 엘리코파워가 충방전장비를 국산화해 내수는 물론 일본에까지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장동준기자@전자신문, djja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차전지 소재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