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종량제 등 통신시장의 핫 이슈가 신규 장비시장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이슈가 해결의 가닥을 잡기는커녕 논란이 가열되면서 줄잡아 수천억원 규모의 설비 및 시스템 발주가 지연되고 있어 장비업계의 애를 태우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통신사업자들의 신규 발주와 함께 장비시장 활성화를 기대해 온 통신장비 업체들은 장비·솔루션 시장이 다시 침체의 늪으로 빠져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KT·하나로텔레콤 등 통신사업자들은 통신시장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각종 이슈가 해결되지 않아 신규 투자를 줄줄이 연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외부 요인에 의해 직접적으로 장비발주가 지연되고 있는 프로젝트에는 KT IPTV 방송센터, 프리미엄망과 신인증 구축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만도 여러 건이다. 댁내광가입자망(FTTH)·각종 광대역통합망(BcN) 관련 프로젝트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KT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투자 연기 규모만 1300억원대. 다른 통신사업자들까지 합치면 수천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실제 IPTV가 방송 혹은 통신이냐의 영역 구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으로써 KT가 전면 보류한 IPTV 방송센터 투자계획만 5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상반기 발주가 예상됐으나 이 프로젝트는 현재 무기한 연기됐다.
트래픽 증가에 대비해 준비해 온 프리미엄망 라우터 프로젝트도 200억원 규모다. 또 각종 신규 서비스를 위해 추진해 온 3차 신인증 프로젝트도 500억원을 넘어선다. 상반기 발주가 예정됐던 이 두 가지 프로젝트는 모두 종량제 이슈에 발목이 잡혀 4분기 혹은 내년 이후로 미뤄질 전망이다.
이는 특히 FTTH·BcN 프로젝트 등과 맞물려 진행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투자 연기가 다른 사업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치 않다.
하나로텔레콤·데이콤 등 다른 통신사업자들도 모두 공통된 고민을 안고 있다.
최대 통신사업자인 KT의 투자가 지연됨에 따라 KT의 동향에 신경을 쓰고 있는 이들 기업은 KT의 행보를 주시하며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으로 돌아섰다. 통합인증·초고속라우터·BcN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이다.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한 관계자는 “현재 통신 네트워크는 이전과 달리 각종 서비스와 네트워크 구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한 사업이 지연되면 다른 사업도 연기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 통신장비 업체의 사장은 “정부의 소극적인 대처로 인해 몇몇 정책 이슈가 통신장비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각종 이슈의 조속한 해결 없이는 통신 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최정훈·홍기범기자@전자신문, jhchoi·kbhong@etnews.co.kr